손해평가사 농학개론 중 재배학 및 원예작물학
제36강
5. 재배관리
(1) 보식과 솎기
1) 보식
①보파(추파): 발아가 불량한 곳에 추가로 보충적으로 파종하는 것이다.
②보식: 이식 후 고사로 결주가 생긴 곳에 추가로 보충적으로 이식하는 것이다.
③보파 또는 보식은 되도록 일찍 실시해야 생육의 지연이 덜된다.
2) 솎기
①발아 후 밀생한 곳의 일부 개체를 제거해 주는 작업
② 솎기는 적기에 실시하여야 하며 일반적 첫 김매기와 같이 실시하며 늦으면 개체 간 경쟁이 심해져 생육이 억제된다.
③ 솎기는 한 번에 끝내지 말고 생육 상황에 따라 수회에 걸쳐 실시한다.
④ 솎기의 효과
㉠개체의 생육공간을 확보함으로써 균일한 생육을 유도할 수 있다.
㉡불량환경에서 파종 시 솎기를 전제로 파종량을 늘리면 발아가 불량하더라도 빈 곳이 생기지 않는다.
㉢파종 시 파종량을 늘리고 나중에 솎기를 하면 불량 개체를 제거하고 우량한 개체만 재배할 수 있다.
㉣개체 간 양분, 수분, 광 등에 대한 경합을 조절하여 건전한 생육이 가능하다.
(2) 중경
1) 의의
생육하는 도중에 경작지의 표면을 호미나 중경기로 긁어 부드럽게 하는 토양 관리 작업을 중경이라 하며 김매기는 중경과 제초를 겸한 작업이다.
2) 장점
①발아 조장: 파종 후 강우로 표층에 굳은 피막이 생겼을 때 중경은 피막을 파괴해 발아가 조장된다.
②토양의 통기성 조장: 중경으로 토양통기가 조장되어 뿌리 생장과 활동이 왕성해지고 미생물의 활동이 원활해져 유기물의 분해가 촉진되며 토양 중 유해한 환원성 물질의 생성 억제 및 유해가스의 발산이 빨라진다.
③토양 수분의 증발 억제: 중경으로 인한 천경의 효과는 표토가 부서지면서 토양의 모세관도 절단해 토양수분 증발을 억제하여 한해(건조해)를 경감시킬 수 있다.
④비효 증진: 논에 요소, 황산암모늄 등을 추비하고 중경을 하면 비료가 환원층에 섞여 비효가 증진된다.
⑤잡초 방제: 김매기는 중경과 제초를 겸한 작업으로 잡초제거에 효과가 있다.
3) 단점
①단근의 피해: 중경은 뿌리의 일부에 손상을 입히게 되는데 어린 작물은 뿌리의 재생력이 왕성해 생육 저해가 덜하나 생식 정장기에 단근은 피해가 크다.
②토양 침식의 조장: 표토가 건조하고 바람이 심한 곳의 중경은 풍식이 조장된다.
③동, 상해의 조장: 중경은 토양 중 지열이 지표까지 상승하는 것을 경감하여 어린 식물이 서리나 냉온에 피해가 조장된다.
(3) 멀칭(바닥 덮기)
1) 의의
작물의 재배 토양의 표면에 피복하는 것으로 피복재는 비닐, 플라스틱, 짚, 건초 등이 있다.
2) 멀칭의 효과
①토양 건조 방지: 멀칭은 토양 중 모관수의 유통을 단절시키고 멀칭 내 공기 습도가 높아져 토양의 표토의 증발을 억제하여 토양 건조를 방지하여 한해(건조해)를 경감시킨다.
②지온의 조절
㉠여름철 멀칭은 열의 복사가 억제되어 토양의 과도한 온도 상승을 억제한다.
㉡겨울철 멀칭은 지온을 상승시켜 작물의 월동을 돕고 서리 피해를 막을 수 있다.
㉢봄철 저온기 투명필름 멀칭은 지온을 상승시켜 이른 몸 촉성재배 등이 이용된다.
③토양 보호: 멀칭은 풍식 또는 수식 등에 의한 토양의 침식을 경감 또는 방지할 수 있다.
④잡초 발생의 억제
㉠잡초 종자는 호광성 종자가 많아 흑색 필름 멀칭을 하면 잡초 종자의 발아를 억제하고 발아하더라도 생장이 억제된다.
㉡흑색 필름 멀칭은 이미 발생한 잡초라도 광을 제한하여 잡초의 생육을 억제한다.
⑤과실의 품질 향상: 과채류 포장에 멀칭은 과실이 청결하고 신선해진다.
3) 필름의 종류와 멀칭의 효과
①투명필름: 지온상승의 효과가 크고 잡초 억제의 효과는 적다.
②흑색 필름: 지온상승의 효과가 적고 잡초 억제의 효과가 크고 지온이 높을 때는 지온을 낮추어 준다.
③녹색 필름: 녹색광과 적외광의 투과는 잘 되나 청색광, 적색광을 강하게 흡수하여 지온상승과 잡초 억제 효과가 모두 크다.
(4) 배토, 토입, 답압
1) 배토(북주기)
①의의
㉠작물이 생육하고 있는 중에 이랑 사이 또는 포기 사이의 흙을 그루 밑으로 긁어모아 주는 것이다.
㉡시기는 보통 최후 중경제초를 겸하여 한 번 정도 한다.
㉢파와 같이 연백화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와 같이 여러 차례에 걸쳐하는 경우도 있다.
②배토의 효과
㉠옥수수, 수수, 맥류 등의 경우는 바람에 쓰러지는 것 (도복) 경감된다.
㉡담배, 두류 등에서는 신근이 발생되어 생육을 조장한다.
㉢감자 괴경의 발육을 조장하고 괴경이 광에 노출되어 녹화되는 것을 방지
㉣당근 수부의 착색을 방지
㉤파, 샐러리 등의 연백화를 목적으로 한다.
㉥벼와 밭벼 등에서는 마지막 김매기를 하는 유효분얼종지기의 배토는 무효분얼의 발생이 억제되어 증수효과가 있다.
㉦토란은 분구 억제와 비대생장을 촉진한다.
㉧배토는 과습기 배수의 효과와 잡초도 방제된다.
2) 토입(흙넣기)
①의의: 맥류 재배에 있어 골 사이 흙을 곱게 부수어 자라는 골 속에 넣어주는 작업을 말한다.
②토입의 효과
㉠월동 전:
㉡해빙기: 1cm 정도 얕게 토입하면 분얼이 촉진되고 건조해를 경감한다.
㉢유효분얼종지기: 2~3cm로 토입하면 무효분얼이 억제되고 후에 도복이 경감되는데 토입의 효과가 가장 큰 시기이다.
㉣수잉기: 3~6cm로 토입하면 도복이 방지하는 효과가 있고 건조할 때는 뿌리가 마르게 되어 오히려 해가 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3) 답압(밟기)
①의의 : 가을보리 재배에서 생육초기~ 유슈형성기 전까지 보리밭을 밟아주는 작업을 답압이라 한다.
②답압의 효과
㉠서릿발이 많이 발생하는 곳에서의 답압은 뿌리를 땅에 고착시켜 동사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장, 과도한 생장을 억제한다.
㉢건생적 생육으로 한 해가 경감된다.
㉣분얼을 조장하며 유효 경수가 증가하고 출수가 고르게 된다.
㉤토양이 건조할 때 답압은 토양 비산을 경감시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