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해평가사
농학개론 중 재배학 및 원예작물학 제43강
5. 과실의 착과와 발육
(1) 과실의 착과
①과실의 착과는 꽃이 수정되어 과실의 발육이 시작되는 것이다.
②과실은 개화 후 세포분열이 끝나기 때문에 비대는 세포분열보다는 세포 크기의 확장에 의해 이루어진다.
③세포 크기의 확장은 체외 양분과 수분의 축적에 의해 이루어진다.
(2)과실의 비대
①과실의 비대는 특히 옥신이 많이 생성되어 비대를 촉진한다.
②과실은 초기에는 종축 성장을 후기에는 횡축 성장이 이루어진다.
③단위 결과는 옥신계 생장조절 물질에 의하여 수정되지 않아도 과실의 비대 발육 현상이 일어나는 것
④단위 결과의 요인
㉠자연적 단위결과: 자방에 옥신이 많이 함유 (오이, 토마토, 고추, 단감, 감귤)
㉡환경적 단위결과: 저온, 고온, 일장, 곤충 작용 등의 특수 환경조건에서
㉢화학적 단위결과: 지베렐린, PCA, NAA 등과 같은 화학물질에 의해서
(3)과실의 성숙
1) 생리적 성숙
①저장 탄수화물이 당으로 변한다.
②유기산이 감소하여 신맛이 감소한다.
③엽록소가 감소하고 카로티노이드와 안토시아닌이 증가한다.
④세포벽의 펙틴질이 분해되고 조직이 연화된다.
⑤여러 가지 향기가 난다.
⑥호흡이 일시적으로 상승하기도 한다.
⑦에틸렌의 급격한 상승이 일어난다.
2)과실의 성숙과 호흡
①호흡급등형
㉠과실이 성숙이나 수확 후 노화과정에서 일시적으로 호흡이 급등하는 작물
㉡사과, 바나나, 복숭아, 토마토, 단감, 키위, 망고
②비호흡급등형
㉠성숙이나 수확 후 노화과정에서 호흡이 완만하게 감소하는 작물
㉡포도, 딸기, 감귤, 가지, 고추, 오이, 오렌지, 파인애플
6. 일장
(1) 일장효과(광주성)
낮의 길이의 길고 짧음에 따라서 나타나는 식물체의 출수반응 또는 개화반응을 일장반응이라 한다.
(2) 일장은 위도와 계절에 따라 크게 변동하며 이에 따라 화아분화, 개화, 인경, 괴경형성, 줄기의 생장 변화, 색소형성 등의 변화된 생육 반응을 나타낸다.
(3)한계일장과 개화반응
1) 장일식물
①한계 일장 보다 긴 조건에서 개화
②무, 시금치, 양파, 양배추, 감자, 당근, 보리
2) 중성식물
①일장에 관계없이 개화
②가지과, 박과
3) 단일식물
①한계 일장 보다 짧은 조건에서 개화
②콩, 옥수수, 딸기, 코스모스, 국화, 나팔꽃
7. 휴면
(1) 휴면
①생육이 일시적으로 중단되는 현상
②휴면의 근본적 이유는 스스로 불량환경을 극복하기 위해서이다.
③자발적 휴면: 외적인 생육조건이 맞더라도 내적 원인에 의한 휴면
④타발적(강제적) 휴면:외적조건이 부적당해서 유발되는 휴면
(2) 휴면의 기능
①양파, 마늘, 감자 등은 수확 후 일정 기간 자발휴면을 하기 때문에 적절한 환경을 부여해도 맹아가 발생하지 않는다.
②딸기, 낙엽과수는 식물체가 휴면한다.
(3) 휴면의 원인
①배의 미숙: 수개월 경과하면 발아할 수 있음(후숙)
②배휴면: 배 자체의 생리적 원인에 의함(저온, 지베렐린 처리하면 휴면타파)
③경실(종피가 단단함): 수분 투과 저해(호두, 밤)
④종피의 불투기성 : 산소 흡수 저해(밀, 보리)
⑤종피의 기계적 저항: 종피가 딱딱하여 배의 팽배를 기계적으로 억제
⑥발아 억제 물질
㉠휴면 중에는 ABA의 농도가 높고
㉡휴면이 타파되면 지베렐린, 옥신의 농도가 높다.
㉢맹아억제: 양파, 마늘, 단감은 수확 수 주 전에 MH를 살포하면 저장 중 맹아가 억제된다.
⑦경실의 휴면타파법
㉠종피파상법: 종피를 모래에 찧는다.(상처를 내서 발아촉진)
㉡진한 황산 처리 : 종피의 표면을 침식시킨 후 물에 씻어 파종하면 발아가 조장된다.
㉢층적법: 종자를 습기 있는 모래나 이끼와 엇바꾸어 층상으로 쌓는다.
㉣건열, 습열, 고압 처리
㉤질산염 처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