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해평가사
농학개론 재배학 및 원예작물학 73강(실전핵심문제#27)
문제 81번
문제 81번 정답 해설
④
※ 엽면시비에는 Ca와 Mg 등 각종 미량원소와 질소질 비료 중 요소가 많이 이용된다.
문제 82번
문제 82번 정답 해설
②
※ 엽면흡수에 적당한 살포액의 pH는 식물에 따라 다르기는 하지만 보통 약산성 상태에서 가장 잘 흡수된다.
문제 83번
문제 83번 정답 해설
③
※ 묘목 심는 시기
1) 낙엽과수 : 가을심기하는 것이 이듬해 생장이 빨라 유리하나 추운 지방에서는 동해의 우려가 있어 봄 심기를 하는 것이 안전하다.
2) 상록과수: 발아 직전에 봄 심기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문제 84번
문제 84번 정답 해설
④
※ 굵은 뿌리는 양분의 저장기관이고, 잔뿌리는 양분과 수분의 흡수 기간이므로 가능하면 자르지 않는 것이 좋다.
문제 85번
문제 85번 정답 해설
④
※ 과수의 결과습성
1) 1년생 가지 : 포도, 감귤, 무화과
2) 2년생 가지 : 복숭아, 자두, 매실
3) 3년생 가지 : 사과, 배
문제 86번
문제 86번 정답 해설
①
※포도와 이 당년생 가지에서 결실하는 과수는 결과 모지를 열매가지라 한다.
1) 결과 모지 : 열매가지가 나오게 하는 가지
2) 열매가지 : 열매를 맺는 가지
문제 87번
문제 87번 정답 해설
③
※ 꽃눈에서 잎이나 새 가지가 전혀 나오지 않고 꽃만 피는 눈으로 복숭아, 자두 등의 꽃눈이 순정꽃눈에 해당한다.
문제 88번
문제 88번 정답 해설
③
※ 덩굴성과수의 수형 : 평덕식(포도), 울타리식(니찬식, 웨이크만: 포도)
문제 89번
문제 89번 정답 해설
②
※ 변칙주간형은 나무의 자연성을 최대로 살리면서 수세 유지와 함께 결실성을 높인다. 또한 수세가 강하고 적립성이며 수량이 비교적 길다.
문제 90번
문제 90번 정답 해설
①
※ 사과, 감, 밤, 양앵두 등에 적합하고 원줄기를 주축으로 3~ 4개의 원가지를 키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