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해평가사농학개론재배학및원예작물학

손해평가사 1차 78강(실전핵심문제#32)

sinye336 2025. 5. 22. 08:00
728x90
SMALL
손해평가사 1차
농학개론 재배학 및 원예작물학 78강 (실전핵심문제#32)

 

문제 131번

 


 

문제 131번 정답 해설

※ 진딧물은 보통잎의 뒷면에 있어 접촉제보다는 침투성 약제가 더 효과적이다.

문제 132번

 


문제 132번 정답 해설

※ 보르도액

1) 황산구리와 수산화칼슘이 조제 원료이다.

2) 조제가 끝난 보르도액을 오래 두면 앙금이 많이 약해를 일으킬 염려가 있고 효과가 떨어지므로 조제 즉시 살포해야 한다.

3) 살포액이 완전히 건조해서 막을 형성해야 하므로 비 오기 직전이나 후에 살포하지 않는다

4) 예방 목적이므로 발병 전에 사용한다.

문제 133번

 


문제 133번 정답 해설

① - 잎말이나방약

③ - 담배나방약

④ - 깍지벌레약

문제 134번

 


문제 134번 정답 해설

※ 급성 독성 정도에 따른 농약의 구분은 맹독성, 고독성, 보통독성, 저 독성이다.

문제 135번

 


문제 135번 정답 해설

※ 농약의 독성은 반수치사량 LD50을 기준으로 한다.

문제 136번

 


문제 136번 정답 해설

※ 종합적 방제법 : 기계적 방제, 경종적 방제, 생물적 방제, 화학적 방제 등에서 몇 가지 방제법을 상호 협력적인 조건에서 연계하여 수행해 가는 방제법

문제 137번

 

 


문제 137번 정답 해설

※ 대추나무의 빗자루병은 미코플라스마에 의한 병의 대표적인 예이다

문제 138번

 


문제 138번 정답 해설

※ 증기 소독은 물리적 방제에 속한다.

문제 139번

 


문제 139번 정답 해설

※ 생물농약은 안전성이 높고, 표적 외 생물에 대한 영향이 적으며, 제조비용은 비싸지만 개발비용은 저렴한 편이다.

문제 140번

 


문제 140번 정답 해설

※ 수화제와 유제는 혼합 사용을 피하고, 나크제 등은 살포하면 안 된다. 농약과 비료를 혼용하면 약해 가능성이 높아진다.

 

 

728x9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