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해평가사 1차
농학개론 재배학 및 원예작물학 93강(7회 기출문제#54)
문제 51번

문제 51번 정답 해설
②
※ 식용 부위에 따른 분류
①엽경채류(잎, 줄기채소)
㉠엽채류: 배추, 양배추, 시금치
㉡화채류(꽃채소): 콜리플라워, 브로콜리
㉢경채류: 아스파라거스, 죽순
㉣인경 체류: 양파, 마늘, 파, 부추
②근채류
㉠직근류: 당근, 무
㉡괴근류: 고구마, 마
㉢괴경류: 감자, 토란
㉣근경류: 생강, 연근, 고추냉이
③열매채소(과채류)
㉠두과(콩과):완두, 콩, 잠두
㉡박과: 오이, 수박, 호박, 참외
㉢가지과: 가지, 고추, 토마토, 감자
문제 52번

문제 52번 정답 해설
②
※작물의 종류에 따른 요수량
①수수, 옥수수, 기장 등은 작고 호박, 앨팰퍼, 클로버등은 크다.
②일반적으로 요수량이 작은 작물일수록 내한성이 크나, 옥수수, 앨팰퍼 등에서는 상반되는 경우도 있다.
문제 53번


문제 53번 정답 해설
③
※ 습해의 발생
1) 토양 과습으로 토양 산소가 부족하여 나타나는 직접 피해로 뿌리의 호흡 장애가 생긴다.
2) 호흡 장애는 뿌리의 양분 흡수를 저해된다.
3) 유해 물질의 생성
4) 유기물 함량이 높은 토양은 환원 상태가 심해 습해가 더욱 심하다.
5) 습해 발생 시 토양전염병 발생 및 전파도 많아진다.
6) 생육 초기보다도 생육 성기에 특히 습해를 받기 쉽다.
문제 54번

문제 54번 정답 해설
④
※ 장일성 식물은 고온 장일 조건에서 추대가 촉진된다.
문제 55번

문제 55번 정답 해설
③
※ 냉해의 구분
①지연형 냉해
㉠생육 초기부터 출수기에 걸쳐 오랜 시간 냉온
또는 일조부족으로 생육의 지연, 출수 지연으로 등숙기에 낮은 온도에 처함으로 등숙의 부량으로 결국 수량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유형의 냉해이다.
㉡질소, 인산, 칼리, 규산, 마그네슘 등 양분의 흡수가 저하되고, 물질 동화 및 전류가 저해되며, 질소동화의 저해로 암모니아 축적이 많아지며, 호흡의 감소로 원형질유동이 감퇴 또는 정지되어 모든 대사기능이 저해된다.
② 장해형 냉해
㉠유수형장기부터 개화기 사이, 특히 생식세포의 감수분열기에 냉온의 영향을 받아서 생식기관이 정상적으로 형성되지 못하거나 또는 꽃가루의 방출 및 수정에 장해를 일으켜 결국 불임 현상이 초래되는 유형의 냉해이다.
㉡타페트 세포의 이상비대는 장해형 냉해의 좋은 예이며, 품종이나 작물의 냉해 저항성의 기준이 되기도 한다.
③병해형 냉해
㉠벼의 경우 냉온에서는 규산의 흡수가 줄어들므로 조직의 규질화가 충분히 형성되지 못하여 도열병균의 침입에 대한 저항성이 저하된다.
㉡광합성의 저하로 체내 당 함량이 저하되고, 질소대사 이상을 초래하여 체내에 유리 아미노산이나 암모니아가 축적되어 병의 발생을 더욱 조장하는 유형의 냉해이다.
④혼합형 냉해: 장기간의 저온에 의하여 지연형 냉해, 장해형 냉해 및 병해형 냉해 등이 혼합된 형태로 나타나는 현상으로 수량감소에 가장 치명적이다.
문제 56번

문제 56번 정답 해설
①
※
● C3 식물: 벼, 밀, 콩, 귀리 등
● C4 식물: 옥수수, 수수, 사탕수수, 기장, 버뮤다그래스, 명아주 등
문제 57번

문제 57번 정답 해설
②
※ 작물의 일장형
1) 장일식물
①보통 16~18시간의 장일상태에서 화성이 유도, 촉진되는 식물로, 단일 상태는 개화를 저해한다.
②최적 일장 및 유도일장 주체는 장일측, 한계일장은 단일측에 있다.
③추파 맥류, 시금치 양파, 아마, 아주까리, 감자 등
2) 단일식물
①보통 8~10 시간의 단일 상태에서 화성이 유도, 촉진되며 장일 상태는 이를 저해한다.
②최적 일장 및 유도일장의 주체는 단일측, 한계일장은 장일측에 있다.
③국화, 콩, 담배, 들깨, 조, 기장, 피, 옥수수, 아마, 호박, 오이, 늦벼, 나팔꽃 등
3) 중성식물
①일정한 한계일장이 없이 넓은 범위의 일장에서 개화하는 식물로 화성이 일장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할 수도 있다.
②강낭콩, 가지, 토마토, 당근, 셀러리 등
4) 정일 식물
①중간식물이라고도 하며 특정 좁은 범위의 일장에서만 화성이 유도되며, 2개의 한계일장이 있다.
②사탕수수의 F-106이란 품종은 12시간에서 12시간 45분의 일정에서만 개화한다.
문제 58번

문제 58번 정답 해설
①
※ 강풍의 직접적인 생리적 장해
①바람에 의해 상처가 발생되면 호흡이 증대되고, 호흡기질로 양분의 소모가 증대된다.
②상처 부위가 건조하면 광산화 반응을 일으켜 고사한다.
③공기가 건조한 상태의 강풍은 과다한 증산으로 식물체가 건조피해를 유발하고, 뿌리의 흡수 기능이 약화되었을 때 피해가 더욱 크다.
④벼의 백수: 건조한 조건에 강풍(습도 60%, 풍속 10m/s)에서 발생하나 공중습도가 높으면 더 강풍(습도 80%, 풍속 20m/s)에서도 발생하지 않는다.
⑤풍속 2~4m/s 이상에서는 기공이 닫혀 CO2 흡수가 감소되어 광합성이 감퇴된다.
⑥냉풍은 작물의 체온을 떨어뜨리고, 심하면 냉해가 유발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