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해평가사 1차
농학개론 재배학 및 원예작물학 96강(8회 기출문제#57)
문제 51번

문제 51번 정답 해설
②
※
1) 백합과: 양파, 파, 마늘, 아스파라거스, 알로에, 원추리, 옥잠화, 히아신스, 맥문동, 튤립
2) 국화과: 국화, 우엉, 쑥갓, 상추, 참취, 데이지, 금잔화, 과꽃, 구절초, 코스모스, 달리아, 거베라, 해바라기, 백일홍
3) 장미과: 딸기, 모과, 사과, 자두, 복숭아, 배, 복분자딸기, 산딸기, 산사나무, 매화, 벚나무, 피라칸사, 장미, 찔레꽃, 해당화
4) 수선화과: 수선화, 군자란, 문주란
5) 진달래과: 블루베리, 만병초, 진달래, 산철쭉, 들쭉나무
문제 52번

문제 52번 정답 해설
①
※ 점토함량이 높은 식토는 지중 침투수가 적어 유량이 증가하므로 침식량이 많다.
● 수식의 대책
①기본 대책은 삼림 조성과 자연 초지의 개량이며, 경사지, 구릉지 토양은 유거수 속도 조절을 위한 경작법을 실시하여야 한다.
②조림: 기본적 수식대책은 치산치수로 이를 위한 산림의 조성과 자연초지의 개량은 수식을 경감시킬 수 있다.
③표토의 피복
㉠연중 나지 기간의 단축은 수식 대책으로 매우 중요하며 우리나라의 경우 7~8월 강우가 집중하므로 이 기간 특히 지표면을 잘 피복하여야 한다.
㉡경지의 수식 방지방법으로는 부초법, 인공피복법, 포복성 작물의 선택과 작부체계 개선 등을 들 수 있다.
㉢경사도 5℃ 이하에서는 등고선 재배법으로 토양 보전이 가능하나 15℃ 이상의 경사지에서는 단구를 구축하고 계단식 경작법을 적용한다.
㉣경사지 토양 유실을 줄이기 위한 재배법으로는 등고선 재배, 초생대 재배, 부초 재배, 계단식 재배 등이 있다.
④입단의 조성
㉠토양의 투수성과 보수력 증대와 내수성 입단 구조로 안정성 있는 토양으로 발달시킨다.
㉡유기물의 시용과 석회질 물질의 시용, 입단 생성제의 토양개량제의 시용으로 입단을 촉진한다.
문제 53번

문제 53번 정답 해설
①
※ 토양 중 Ca2+ , Mg2+ , K+ 등의 치환성 염기가 용탈 되어 미포화교질이 늘어나는 것이 토양산성화의 가장 보편적인 원인이다.
※산성토양의 해작용
①과다한 수소이온(H+)이 작물의 뿌리에 해를 준다.
②알루미늄 이온(Al+3), 망간 이온(Mn+2) 이 용출되어 작물에 해를 준다.
③인(P), 칼슘(Ca), 마그네슘(Mg), 몰리브덴(Mo), 붕소(B) 등의 필수원소가 결핍된다.
④석회가 부족하고 미생물의 활동이 저해되어 유기물의 분해가 나빠져 토양의 입단 형성이 저해된다.
⑤질소고정균 등의 유용미생물의 활동이 저해된다.
※ 미숙 유기물을 시비했을 때 질소 기아 현상처럼 작물과 미생물 간에 양분의 쟁탈이 일어난다.
문제 54번

문제 54번 정답 해설
④
※ 한 해 대책
1) 관개: 근본적인 한 해 대책으로 충분히 관수를 한다.
2) 내건성 작물 및 품종의 선택
3) 토양수분의 보유력 증대와 증발 억제
①토양 입단의 조성
②드라이 파밍: 휴간기에 비가 올 때 땅을 갈아서 빗물을 지하에 잘 저장하고, 재배 기간에는 토양을 잘 진압하여 지하수의 모관상승을 조장해 한발 적응성을 높이는 농법이다.
③피복과 중경제초
④증발 억제제의 살포: OED 유액을 지면이나 엽면에 뿌리면 증발. 증산이 억제된다.
4) 밭에서의 재배 대책
① 뿌림 골을 낮게 한다(휴립구파).
② 뿌림 골을 좁히거나 재식밀도를 성기게 한다.
③질소의 다용을 피하고 퇴비, 인산, 칼리를 증시 한다.
④봄철의 맥류 재배 포장이 건조할 때 답압한다.
5) 논에서의 재배 대책
①중북부의 천수답 지대에서는 건답직파를 한다.
②남부의 천수답 지대에서는 만식 적응 재배를 하며 밭못자리모, 박파모는 만식 적응성에 강하다.
③이양기가 늦을 시 모 솎음, 못자리 가식, 본 답가식, 저 묘 등으로 과숙을 회피한다.
④모내기가 한계 이상으로 지연될 경우에는 조, 메밀, 기장, 채소 등을 대파한다.
문제 55번

문제 55번 정답 해설
③
※ 작물의 내건성(=내한성)
1) 작물이 건조에 견디는 성질을 의미하며 여러 요인에 의해서 지배된다.
2) 내건성이 강한 작물의 특성
①체내 수분의 손실이 적다.
②수분의 흡수능이 크다.
③체내의 수분 보유력이 크다.
④수분 함량이 낮은 상태에서 생리 기능이 높다.
3) 형태적 특성
①표면적과 체적의 비가 작고 왜소하며 잎이 작다.
②뿌리가 깊고 지상부에 비하여 근 군의 발달이 좋다.
③잎 조직이 치밀하고 잎맥과 울타리 조직의 발달 및 표피에 각피가 잘 발달하고, 기공이 작고 많다.
④저수능력이 크고, 다육화의 경향이 있다.
⑤기동 세포가 발달하여 탈수되면 잎이 말려서 표면적이 축소된다.
4) 세포적 특성
①세포가 작아 수분이 적어져도 원형질 변형이 적다.
②세포 중 원형질 또는 저장양분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아 수분포유력이 강하다.
③원형질의 점성이 높고 세포액의 삼투압이 높아서 수분 보유력이 강하다.
④탈수 시 원형질 응집이 덜하다.
⑤원형질막의 수분, 요소, 글리세린 등에 대한 투과성이 크다.
5) 물질대사적 특성
①건조 시는 증산이 억제되고, 급수 시는 수분 흡수 기능이 크다.
②건조 시 호흡이 낮아지는 정도가 크고, 광합성 감퇴 정도가 낮다.
③건조 시 단백질, 당분의 소실이 늦다.
문제 56번

문제 56번 정답 해설
③
※ 춘화처리
①개화 유도를 위해 생육 중 일정한 시기에 일정한 온도로 처리하는 것으로 일정한 저온조건에서 식물의 감온상을 경과하도록 하는 것이다.
②춘화 처리가 필요한 식물에서는 저온처리하지 않으면 개화의 지연 또는 영양기에 머물게 된다.
③저온 처리 자극의 감응 부위는 생장점이다.
※ 이춘화
①저온 춘화처리 과정 중 불량한 조건은 저온처리의 효과 감퇴나 심하면 저온처리의 효과가 전혀 나타나지 않는데, 이와 같이 춘화처리의 효과가 어떤 원인에 의해서 상실되는 현상을 이춘화라고 한다.
②밀에서 저온춘화를 실시한 직후 35℃의 고온처리를 하면 춘화 효과가 상실된다.
③밀에서 8시간의 0~5℃ 처리와 25~30℃에서 16시간의 처리를 반복하면 저온처리 효과가 사라진다.
문제 57번

문제 57번 정답 해설
③
※ 주요 온도
1) 유효온도 : 작물 생육이 가능 범위의 온도
2) 최저 온도: 작물 생육이 가능한 가장 낮은 온도
3) 최고온도: 작물 생육이 가능한 가장 높은 온도
4) 최적온도: 작물 생육이 가장 왕성한 온도
5) 적산온도: 작물의 발아로부터 등숙까지 일평균 기온 0℃ 이상의 기온을 총 합산한 온도
문제 58번

문제 58번 정답 해설
④
※ 광도와 광합성
1) 광보상점
①작물은 대기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유기물을 합성하며 호흡을 통해 유기물을 소모하며 이산화탄소를 방출한다.
②진정 광합성: 호흡을 무시한 절대적 광합성
③외견상 광합성: 호흡으로 소모된 유기물을 제외한 광합성
④보상점: 광합성은 어는 한계까지 광이 강할수록 속도는 증대되는데 광합성 때 흡수한 이산화탄소량과 호흡할 때 방출한 이산화탄소의 양이 같을 때의 빛의 세기
2) 광포화점 : 빛의 세기가 보상점을 지나 증가하면서 광합성 속도도 증가하나 어는 한계 이후 빛의 세기가 더 증가하여도 광합성량이 더 이상 증가하지 않는 빛의 세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