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해평가사 1차
농학개론 재배학 및 원예작물학 97강(8회 기출문제#58)
문제 59번

문제 59번 정답 해설
④
※ 에틸렌의 작용
① 발아를 촉진시킨다.
②정아 우세 현상을 타파하여 곁눈의 발생을 조장한다.
③꽃눈이 많아지는 효과가 있다.
④성표현 조절: 오이, 호박 등 박과 채소의 암꽃 착생수를 증대시킨다.
⑤잎의 노화를 가속화시킨다.
⑥적과의 효과가 있다.
⑦ 많은 작물에서 과실의 성숙을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⑧탈엽 및 건조제로 효과가 있다.
⑨이층 형성 촉진
문제 60번


문제 60번 정답 해설
②
※ 도복 대책
㉠품종의 선택 : 키가 작고 대가 튼튼한 품종의 선택은 도복방지에 가장 효과적이다.
㉡시비: 질소의 편중 시비를 피하고 칼리, 인산, 규산, 석회 등을 충분히 시용한다.
㉢파종, 이식 및 재식밀도
ⓐ재식밀도가 과도하면 도복이 유발될 우려가 크기 때문에 재식밀도를 적절하게 조절해야 한다.
ⓑ맥류는 복토를 다소 깊게 하면 도복이 경감된다.
㉣관리: 벼의 마지막 김매기 때 배토와 맥류의 답압, 토입, 진압 및 결속 등은 도복을 경감시키는데 효과적이다.
㉤병충해 방제
㉥생장조절제의 이용: 벼에서 유효분얼종지기에 2.4-D, PCP 등의 생장조절제 처리는 도복을 경감시킨다.
㉦도복 후의 대책 : 도복 후 지주를 세우거나 결속은 지면, 수면에 접촉을 줄여 변질, 부패가 경감된다.
문제 61번

문제 61번 정답 해설
①
※ 경화 (모종 굳히기): 모종을 정식하기 전에 외부 환경에 적응하고 견딜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대개 정식 5일 전부터 물 주는 양을 줄이고 육묘 상의 기온을 낮추며 직사광선을 받도록 해 준다.
문제 62번

문제 62번 정답 해설
②
※ 종자번식의 장단점
①장점
㉠대량 채종과 대량 번식이 가능하다.
㉡취급이 간편하고 수송과 저장이 용이하다.
②단점
㉠유전적 변이로 양친의 형질이 그대로 전달되지 못한다.
㉡영년생 과수의 겨우 개화 결실에 이르는 기간이 길다.
※영양번식의 장점
①보통 재배로 채종이 곤란해 종자번식이 어려운 작물에 이용된다( 고구마, 감자, 마늘 등)
②우량한 유전질을 쉽게 영속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고구마, 감자, 과수 등)
③종자 번식보다 생육이 왕성해 조기 수확이 가능하며 수량도 증가한다(감자, 모시풀, 괏, 화훼)
④암수 어는 한쪽만 재배할 때 이용된다.( 호프는 영양번식으로 암그루만 재배가 가능하다.)
⑤접목은 수세의 조절, 풍토 적응성 증대, 병충해 저항성, 결과 촉진, 품질 향상, 수세 회복 등을 기대할 수 있다.
문제 63번

문제 63번 정답 해설
③
※ 광과 발아
①대부분 종자에 있어 광은 발아에 무관하지만 광에 의해 발아가 조장되거나 억제되는 것도 있다.
②호광성종자(광발아종자)
㉠광에 의해 발아가 조장되며 암조건에서 발아하지 않거나 발아가 몹시 불량한 종자
㉡담배, 상추, 우엉, 차조기, 금어초, 베고니아, 피튜니아, 뽕나무, 버뮤다그래스 등
③혐광성종자(암발아 종자)
㉠광에 의하여 발아가 저해되고 암조건에서 발아가 잘 되는 종자
㉡호박, 토마토, 가지, 오이, 수박, 양파, 파, 나리과 식물 등
④광무관종자
㉠광이 발아에 관계가 없는 종자
㉡벼, 보리, 옥수수 등 화곡류와 대부분 콩과 작물 등
⑤화본과 목초 종자나 잡초 종자는 대부분 호광성종자이며 땅속에 묻히게 되면 산소와 광 부족으로 휴면하다가 지표 가까이 올라오면 산소와 광에 의해 발아하게 된다.
⑥적색광, 근적색광 전환계가 호광성 종자의 발아에 영향을 미치며 광발아성은 후숙과 발아 시 온도에 따라서도 달라진다.
⑦광감수성은 화학물질에 의해서도 달라지는데 지베렐린 처리는 호광성 종자의 암중 발아를 유도하며 약산 처리는 호광성이 혐광성으로 바뀌는 경우도 있다.
문제 64번

문제 64번 정답 해설
②
※ 멀칭의 효과
①토양 건조 방지: 멀칭은 토양 중 모관수의 유통을 단절시키고, 멀칭 내 공기 습도가 높아져 토양의 표토의 증발을 억제하여 토양 건조를 방지하여 한 해를 경감시킨다.
②지온의 조절
㉠여름철 멀칭은 열의 복사가 억제되어 토양의 과도한 온도 상승을 억제한다.
㉡겨울철 멀칭은 지온을 상승시켜 작물의 월동을 돕고 서리 피해를 막을 수 있다.
㉢봄철 저온기 투명필름 멀칭은 지온을 상승시켜 이른 봄 촉성재배 등이 이용된다.
③토양 보호: 멀칭은 풍식 또는 수식 등에 의한 토양의 침식을 경감 또는 방지할 수 있다.
④잡초 발생의 억제
㉠잡초 종자는 호광성 종자가 많아 흑색 필름 멀칭을 하면 잡초 종자의 발아를 억제하고 발아하더라도 생장이 억제된다.
㉡흑색 필름 멀칭은 이미 발생한 잡초라도 광을 제한하여 잡초의 생육을 억제한다.
⑤과실의 품질 향상: 과채류 포장에 멀칭은 과실이 청결하고 신선해진다.
문제 65번

문제 65번 정답 해설
③
※ 경종적 방제법: 재배적 방법으로 병충해를 방제하는 방법
㉠토지의 선정 : 씨감자의 고랭지 재배는 바이러스 발생이 적어 채종지로 알맞으며, 통풍이 좋지 않고 오수가 침입하는 못자리는 충해가 많다.
㉡저항성 품종의 선택: 남부 지방 조식재배는 벼의 줄무늬 잎 마름 병 피해가 심하므로 저항성 품종을 선택한다.
㉢무병종묘의 선택: 밤의 혹벌은 저항성 품종의 선택으로 방지하고, 포도의 필록세라는 저항성 대목의 접목으로 방지한다.
㉣윤작: 기지 원인이 되는 토양전염성 병해충은 윤작으로 경감시킨다.
㉤혼식
ⓐ팥의 심식층은 논두렁에 콩과 혼식으로 피해가 감소한다.
ⓑ밭벼 사이에 심은 무에는 충해가 감소한다.
㉦생육시기의 조절
ⓐ감자를 일찍 파종하여 일찍 수확하면 역병, 됫박 벌레의 피해가 감소한다.
ⓑ밀의 수확기를 빠르게 하면 녹병의 피해가 감소한다.
ⓒ벼의 조식재배는 도열별이 경감되고, 만식 재배는 이화명나방이 경감된다.
㉧시비법 개선: 질소비료의 과용과 칼륨, 규소 등의 부족은 병충해의 발생이 증가한다.
㉨포장의 정결한 관리: 잡초, 낙엽 등을 제거하면 병해충의 전염경로가 사라지고, 통풍과 투광이 좋아져 작물 생육이 건실해지므로 병충해가 경감된다.
㉩종자의 선택
ⓐ감자, 콩, 토마토 등의 바이러스병은 무병종자의 선택으로 방제한다.
ⓑ벼의 선충 심고 병, 밀의 곡실 선충병은 종자전염을 하므로 종자소독으로 방제한다.
㉪중간기주식물의 제거: 배의 적성병(붉은 별무늬병)은 중간기주식물인 향나무를 제거함으로써 방제할 수 있다.
㉫수확물의 건조
ⓐ수확물을 잘 건조하면 병충해 발생이 감소한다.
ⓑ보리를 잘 건조하면 보리나방의 피해가 방지된다.
ⓒ곡물의 수분함량을 12% 이하로 하면 바구미 등 병해충 피해가 방지된다.
문제 66번

문제 66번 정답 해설
④
※ 메리골드(금잔화): 1년생 초본(추파 1년 초 0으로 주로 종자번식을 이용한다.
※삽목(꺾꽂이)
㉠엽삽: 글록시니아, 렉스베고니아, 산세비에리아, 아프리칸 바이올렛, 페페로미아
㉡엽아삽: 감귤류, 고무나무, 국화, 달리아, 동백나무, 몬스테라, 치자
㉢경삽: 국화, 개나리, 무궁화, 베고니아, 사철나무, 장미, 철쭉류, 카네이션, 포인세티아, 회양목
㉣근삽: 국화, 능소화, 명자 꽃나무, 모란, 버드나무, 산수유, 아디안텀, 조팝나무, 프리뮬러, 플록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