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해평가사 1차
농학개론 재배학 및 원예작물학 99강 (9회 기출문제#60)
문제 51번

문제 51번 정답 해설
②
※ 장미과 : 딸기, 모과, 사과, 자두, 복숭아, 배, 복분자딸기, 산딸기, 산사나무, 매화, 벚나무, 피라칸사, 장미, 찔레꽃, 해당화
※가지과: 고추, 토마토, 가지, 감자, 피튜니아
문제 52번

문제 52번 정답 해설
④
※ 강산성에서의 작물 생육
㉠ 인, 칼슘, 마그네슘, 붕소, 몰리브덴 등의 가급도가 떨어져 작물의 생육에 불리하다.
㉡ 암모니아가 식물체 내에 축적되고 동화되지 못해 해롭다.
㉢ 알루미늄, 철, 구리, 아연, 망간 등의 용해도가 증가하여 독성으로 인해 작물 생육을 저해한다.
※토양반응과 미생물
① 토양유기물 분해와 공중질소를 고정하여 유효태양분을 생성하는 활성 박테리아(세균)는 중성 부근의 토양반응을 좋아하며, 강산성에 적응하는 세균의 종류는 많지 않다.
②곰팡이는 넓은 범위의 토양반응에 적응하나 산성토양에서 잘 번식한다.
㉠사물기생 곰팡이는 유기물의 최초 분해에 가담한다.
㉡활물기생 곰팡이는 대부분 병원균으로 작용한다.
문제 53번

문제 53번 정답 해설
①
※ 질소의 결핍은 노엽의 단백질이 분해되어 생장이 왕성한 부분으로 질소분이 이동함에 따라 하위엽에서 황백화 현상이 일어나고 화곡류의 분얼이 저해된다.
※근류균은 콩과 식물의 뿌리에 혹을 만들어 대기 중 질소 가스를 고정하여 식물에 공급하고 대신 필요한 양분을 공급받는다.
문제 54번

문제 54번 정답 해설
④
※ 작물 생육에 있어 수분의 기본 역할
①원형질의 생활 상태를 유지한다.
②식물체 구성 물질의 성분이며 광합성의 원료가 된다.
③식물체에 필요한 물질의 흡수 용매가 된다.
④세포 긴장상태를 유지시켜 식물의 체제 유지를 가능하게 한다.
⑤필요 물질의 합성, 분해의 매개체가 된다.
⑥식물의 체내 물질 분포를 고르게 하는 매개체가 된다.
문제 55번


문제 55번 정답 해설
④
※ 상해
ⓐ 서리로 인하여 -2~0℃에서 작물이 동사하는 피해이다.
ⓑ봄에 일찍 파종하거나 이식하는 작물, 과수 꽃은 상해를 입는다.
ⓒ서릿발은 토양수분이 넉넉하고(60% 이상), 추위가 심하지 않을 때 (지표는 0℃ 이하, 지중은℃ 이상), 남부 지방 식질 토양에서 많이 발생하며, 토양 동결이 심하면 상주는 발생하지 않는다.
송풍법 동상해가 발생하는 밤의 지면 부근 온도 분포는 온도역전현상으로 지면에 가까울수록 온도가 낮은데 송풍기 등으로 기온역전현상을 파괴하면 작물 부근의 온도를 높여서 상해를 방지할 수가 있다.
문제 56번

문제 56번 정답 해설
③
※광질
①의의: 파장별로 구분되는 광선의 종류로 태양광의 경우 자외선, 가시광선, 적외선으로 분류되며 작물의 생육에는 가시광선이 중요하다.
②가시광선
㉠적색광: 광합성, 광주기성, 광발아성 종자의 발아를 주도한다.
㉡청색광: 카로티노이드계 색소의 생성 촉진
③근적외선: 식물의 신장 촉진하여 적색광과 근적외선의 비가 작으면 절간신장이 촉진되어 초장이 커진다.
④자외선: 신장을 억제하며, 엽육을 두껍게 하고, 안토시아닌계 색소의 발현을 촉진한다.
⑤피토크롬: 색소단백질로 적색광을 흡수하면 활성형인 pfr형으로 전환되고 근적외광을 흡수하면 불활성형인 pfr형으로 변하는 가역적 반응을 통해 종자발아 및 줄기의 분자, 신장 등에 영향을 미친다.
문제 57번

문제 57번 정답 해설
①
※ 온도반응에 의한 분류
①저온 작물
㉠비교적 저온에서 생육이 잘 되는 작물
㉡맥류: 감자, 상추, 딸기, 배추, 부, 샐러리, 당근, 시금치 등
②고온 작물
㉠고온조건에서 생육이 잘 되는 작물
㉡벼, 콩, 옥수수, 수수, 고추, 가지, 토마토 등
문제 58번

문제 58번 정답 해설
②
※ 지베렐린의 재배적 이용
①휴면 타파와 발아촉진
②화성의 유도 및 촉진
③경엽의 신장 촉진
④단위 결과 유도 : 포도 거봉 품종은 만화기 전 14일 및 10일경 2회 처리하면 무핵과 가 형성되고 성숙도 크게 촉진된다.
⑤수량 증대: 가을씨 감자, 채소, 목초, 섬유작물 등에서 효과적이다.
⑥성분 변화: 뽕나무에 지베렐린 처리는 단백질을 증가시킨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