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해평가사 1차
농학개론 재배학 및 원예작물학 100강 (9회 기출문제#61)
문제 59번

문제 59번 정답 해설
②
※ 상추는 온도보다 일장에 반응하여 개화하는 장일성 식물이다.
문제 60번

문제 60번 정답 해설
③
※ 강풍의 직접적인 생리적 장해
① 바람에 의해 상처가 발생되면 호흡이 증대되고, 호흡기질로 양분의 소모가 증대된다.
②상청 부위가 건조하면 광산화 반응을 일으켜 고사한다.
③공기가 건조한 상태의 강풍은 과다한 증산으로 식물체가 건조피해를 유발하고, 뿌리의 흡수 기능이 약화되었을 때 피해가 더욱 크다.
④벼의 백수: 건조한 조건에 강풍(습도 60%, 풍속 10m/s)에서 발생하나 공중습도가 높으면 더 강한 강풍(습도 80%, 풍속 20m/s)에서도 발생하지 않는다.
⑤풍속 2~4m/s 이상에서는 기공이 닫혀 CO2 흡수가 감소되어 광합성이 감퇴된다.
⑥냉풍은 작물의 체온을 떨어뜨리고, 심하면 냉해가 유발된다.
문제 61번

문제 61번 정답 해설
④
※ 아브시스산의 작용
①잎의 노화 및 낙엽 촉진한다.
②휴면을 유도한다.
③종자의 휴면을 연장하여 발아를 억제한다.
④단일 식물을 장일 조건에서 화성을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
⑤ ABA 증가로 기공이 닫혀 위조 저항성이 증진된다.
⑥목본 식물의 경우 내한성이 증진된다.
문제 62번

문제 62번 정답 해설
④
※ 육모 시 공간 활용도는 고정식 벤치가 더 높다.
문제 63번

문제 63번 정답 해설
①
※ 토마토 풋마름병, 위조병은 야생 토마토에 수박의 덩굴쪼김병은 박 또는 호박 등에 접목하면 회피, 경감된다.
문제 64번

문제 64번 정답 해설
②
※우박
1) 작물을 심하게 손상시키며 대체로 국지적으로 발생한다.
2) 우박 피해는 생리적, 병리적 장해를 수반한다.
3) 피해 정도가 심한 가지에는 도포제를 발라준다.
4) 우박 후에는 약제의 살포로 병해의 예방과 비배관리로 작물의 건실한 생육을 유도하여야 한다.
문제 65번

문제 65번 정답 해설
②
※ 수발아
①의의
㉠ 성숙기에 가까운 맥류가 장기간 비를 맞아서 젖은 상태로 있거나, 우기에 도복으로 이삭이 젖은 땅에 오래 접촉해 있게 되었을 때 수확 전의 이삭에서 싹이 트는 것
㉡ 수발아는 성숙기에 비가 오는 날이 계속되면 종자가 수분을 흡수한 상태로 낮은 온도에 오래 처하게 되면서 휴면이 일찍 타파되어 발아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② 휴면과 발아: 휴면이 끝나지 않은 종자가 수분을 흡수하고 15℃ 이하의 낮은 온도에 보관되면 휴면이 타파되고 발아하지만, 휴면을 끝낸 종자는 25~30℃의 높은 온도에서 발아가 잘 된다.
③수발아 대책
㉠품종의 선택
ⓐ 맥류는 만숙종보다 조숙 종이 수확기가 빨라 수발아 위험이 낮다.
ⓑ 숙기가 같더라도 휴면기간이 긴 품종은 수발아가 낮다.
ⓒ 밀은 초자립질, 백립, 다부모종등이 수발아성이 높다.
ⓓ벼는 한국, 일본 만주의 품종이, 인도, 필리핀, 남아메리카 품종 비해 저온 발아 속도가 빠르다.
㉡벼, 보리는 수확 7일 전 건조제를 저녁때 경엽에 살포한다.
㉢ 도복의 방지: 도복은 수발아를 조장하므로 방지한다.
㉣ 출수 후 발아억제제의 살포는 수발아를 억제한다.
㉤ 작물의 선택: 맥류의 경우 보리가 밀보다 성숙기가 빠르므로, 성숙기 비를 맞는 경우가 적어 수발아 위험이 낮다.
문제 66번

문제 66번 정답 해설
①
※ 칼슘 부족으로 인한 장해 유형: 토마토 배꼽썩음병, 사과 고두병, 양배추 흑심병, 배의 콜크스폿, 상추 잎끝 마름 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