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해평가사 농학개론 재배학 및 원예작물학
제10강
7. 수해
(1) 수해의 발생
1) 의의
① 많은 비로 인해 발생되는 피해를 수해라고 한다.
②수해는 단기간의 호우로 흔히 발생하며, 우리나라에서는 7~8월 우기에 국지적 수해가 발생한다.
2) 수해의 형태
①토양 붕괴로 산사태, 토양침식 등의 유발
②유토에 의한 전답의 파괴 및 매몰
③유수에 의한 작물의 도복과 손상 및 표토의 유실
④침수에 의해서 흙 앙금이 앉고, 생리적인 피해로 생육이 저해된다.
⑤침수에 의해 저항성이 약해지고 병원균의 전파로 병충해 발생의 증가
3)관수해의 생리
①작물이 완전히 물에 잠기게 되는 침수를 관수라고 하며, 그 피해를 관수해라고 한다.
②산소의 부족으로 무기호흡을 하게 된다.
③산소 호흡에 비해 무기호흡은 동일한 에너지를 얻는데 호흡기 질의 소모량이 많아 무기호흡이 오래 계속되면 당분, 전분 등 호흡기질이 소진되어 마침내 기아 상태에 이르게 된다.
④관수 중의 벼 잎은 급히 도장하여 이상 신장을 유발하기도 한다.
⑤관수로 인한 급격한 산소 부족은 여러 가지 대사작용이 저해, 관수 상태에서는 병균의 전파 침입이 조장되고 작물의 병해충에 대한 저항성이 약해져서 병충해의 발생이 심해진다.
(2) 수해 발생과 조건
1) 작물의 종류와 품종
①침수에 강한 밭작물: 화본과 목초, 피, 수수, 옥수수, 땅콩 등
②침수에 약한 밭작물: 콩과 작물, 채소, 감자, 고구마, 메밀 등
③생육 단계: 벼는 분얼 초기에는 침수에 강하고, 수잉기 ~ 출수개화기에는 극히 약하다.
2) 침수해의 요인
①수온: 높은 수온은 호흡기 질의 소모가 많아져 관수해가 크다.
②수질
㉠탁한 물은 깨끗한 물보다, 고여 있는 물은 흐르는 물보다 수온이 높고 용존산소가 적어 피해가 크다.
㉡청고: 수온이 높은 정체 탁수로 인한 관수 해로 단백질 분해가 거의 일어나지 못해 벼가 죽을 때 푸른색이 되어 죽는 현상
㉢적고: 흐르는 맑은 물에 의한 관수해로 단백질 분해가 생기며 갈색으로 변해 죽는 현상
3) 재배적 요인
질소비료를 과다 시용 또는 추비를 많이 하면 체내 탄수화물의 감소와 호흡작용이 왕성해져 내병성과 관수 저항성이 약해져 피해가 커진다.
(3) 수해 대책
1) 사전대책
①치산을 잘해서 산림을 녹화하고, 하천의 보수로 치수를 잘하는 것이 수해의 기본대책이다.
②경사지는 피복작물의 재배 또는 피복으로 토양유실을 방지한다.
③배수 시설의 강화
④수해 상습지에서는 작물의 종류나 품종의 선택에 유의한다.
⑤파종기, 이식기를 조절해서 수해를 회피, 경감시키며 질소 과다 시용을 피한다.
2) 침수 중 대책
①배수에 노력하여 관수 기간을 짧게 한다.
②물이 빠질 때 잎의 흙 앙금을 씻어준다.
③키가 큰 작물은 서로 결속하여 유수에 의한 도복을 방지한다.
3) 퇴수 후 대책
①산소가 많은 새 물로 환수하여 새 뿌리의 발생을 촉진하도록 한다.
②김을 매어 토양 통기를 좋게 한다.
③표토의 유실이 많을 때에는 새 뿌리의 발생 후에 추비를 주도록 한다.
④침수 후에는 병충해의 발생이 많아지므로 방제를 철저히 한다.
⑤피해가 격심할 때에는 추파, 보식, 개식, 대파 등을 고려한다.
8. 한해( 건조한)
(1)한해의 생리
①토양의 건조는 식물의 체내 수분함량을 감소시켜 위조 상태로 만들고 더욱 감소하게 되면서 고사하며, 수분의 부족으로 작물에 발생하는 장애
②작물의 체내 수분 부족은 강우와 관개의 부족으로 발생하지만 수분이 충분하여도 근계 발달이 불량하여 시들게 되는 경우도 있다.
(2) 한해의 발생
①세포 내 수분의 감소는 수분이 제한인자가 되어 광합성의 감퇴와 양분흡수, 물질 전류 등 여러 생리작용도 저해된다.
②효소작용의 교란으로 광합성이 감퇴되고, 이화작용이 우세하여 단백질, 당분이 소모되어 피해를 받는다.
③건조에 의해 세포가 탈수될 때 원형질은 세포막에서 이탈되지 못한 상태로 수축하므로 기계적 견인력을 받아서 파괴된다.
④탈수된 세포가 갑자기 수분을 흡수할 때에도 세포막이 원형질과 이탈되지 않은 상태로 먼저 팽창하므로 원형질은 역시 기계적인 견인력을 받아서 파괴되는 일이 있다.
⑤세포로부터 심한 탈수는 원형질이 회복될 수 없는 응집을 초래하여 작물의 위조. 고사를 일으킨다.
(3) 작물의 내건성 (= 내한성)
1) 작물이 건조에 견디는 성질을 의미하며 여러 요인에 의해서 지배된다.
2) 내건성이 강한 작물의 특성
①체내 수분의 손실이 적다.
②수분의 흡수능이 크다.
③체내의 수분 보유력이 크다.
④수분 함량이 낮은 상태에서 생리 기능이 높다.
3) 형태적 특성
①표면적과 체적의 비가 작고 왜소하며 잎이 작다.
②뿌리가 깊고 지상부에 비하여 근 군의 발달이 좋다.
③잎 조직이 치밀하고 잎맥과 울타리 조직의 발달 및 표피에 각피가 잘 발달하고, 기공이 작고 많다.
④저수능력이 크고, 다육화의 경향이 있다.
⑤기동 세포가 발달하여 탈수되면 잎이 말려서 표면적이 축소된다.
4) 세포적 특성
①세포가 작아 수분이 적어져도 원형질 변형이 적다.
②세포 중 원형질 또는 저장양분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아 수분 보유력이 강하다.
③원형질의 점성이 높고 세포액의 삼투압이 높아서 수분 보유력이 강하다.
④탈수 시 원형질 응집이 덜하다.
⑤원형질막의 수분, 요소, 글리세린 등에 대한 투과성이 크다.
5) 물질대사적 특성
①건조 시 증산이 억제되고, 급수 시는 수분 흡수 기능이 크다.
②건조 시 호흡이 낮아지는 정도가 크고, 광합성 감퇴 정도가 낮다.
③건조 시 단백질, 당분의 소실이 늦다.
(4) 생육단계 및 재배조건과 한해
①작물의 내건성은 생육단계에 따라서 다르며, 생식. 생장기에 가장 약하다.
②벼의 한해 정도 : 감수 분얼기 〉 출수개화기와 유숙기 〉 분얼기
③퇴비, 인산, 칼륨의 결핍, 질소의 과다는 한해를 조장한다.
④퇴비가 적으면 토양 보수력 저하로 한해가 심하다.
⑤휴립휴파는 평휴나 휴립구파 보다 한발에 약하기 쉽다.
(5)한해대책
1) 관개
근본적인 한해 대책으로 충분히 관수를 한다.
2) 내건성 작물 및 품종의 선택
3) 토양수분의 보유력 증대와 증발 억제
①토양 입단의 조성
②드라이 파밍: 휴간기에 비가 올 때 땅을 갈아서 빗물을 지하에 잘 저장하고, 재배 기간에는 토양을 잘 진압하여 지하수의 모관상승을 조장해 한발 적응성을 높이는 농법
③피복과 중경제초
④증발 억제제의 살포: OED 유액을 지면이나 엽면에 뿌리면 증발. 증산이 억제된다.
4) 밭에서의 재배 대책
① 뿌림 골을 낮제 한다(휴립구파)
② 뿌림 골을 좁히거나 재식밀도를 성기게 한다.
③질소의 다용을 피하고 퇴비, 인산, 칼리를 증시한다.
④봄철의 맥류 재배 포장이 건조할 때 답압 한다.
※답압: 토양을 밟아 다져주는 것
5) 논에서의 재배 대책
①중북부의 천수답 지대에서는 건답직파를 한다.
②남부의 천수답 지대에서는 만식 적응 재배를 하며 밭못자리모, 박파표는 만식 적응성에 강하다.
③이앙기가 늦을 시 모 솎음, 못자리 가식, 본 답가식, 저묘 등으로 과숙을 회피한다.
④모내기가 한계 이상으로 지연될 경우에는 조, 메밀, 기장, 채소 등을 대파한다.
9. 수질오염
(1) 의의
공장, 도시오수, 광산폐수 등의 배출로 하천, 호수, 지하수, 해양의 수질이 오염되어 인간이나 동물, 식물이 피해를 입는 것을 의미
(2) 수질오염원
①도시오수
㉠주택단지 또는 도시근교의 질소함량이 높은 폐수, 유기물 함량이 높은 오수
㉡부유물질
㉢합성제제 : 뿌리의 노화현상
㉣공장폐수 : 산과 알칼리, 중금속, 유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