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해평가사농학개론재배학및원예작물학

손해평가사 농학개론 중 재배학및 원예작물학 #12

sinye336 2025. 4. 14. 11:00
728x90
SMALL
손해평가사 농학개론 중 재배학 및 원예작물학
제12강

 

5. 저온장해

(1) 냉해

1) 의의

①식물체 조직 내에 결빙이 생기지는 않는 범위의 저온에 의해서 받는 피해

②여름작물에 있어 고온이 필요한 여름철에 비교적 낮은 냉온을 장기간 지속적으로 받아 피해를 받는 것을 냉해라고 한다.

2) 냉해의 구분

①지연형 냉해

생육 초기부터 출수기에 걸쳐 오랜 시간 냉온 또는 일조부족으로 생육의 지연 출수 지연으로 등숙기에 낮은 온도에 처함으로 등숙의 불량으로 결국 수량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유형의 냉해이다.

㉡질소, 인산, 칼리, 규산, 마그네슘 등 양분의 흡수가 저해되고, 물질 동화 및 전류가 저해되며, 질소동화의 저해암모니아 축적이 많아지며, 호흡의 감소로 원형질유동이 감퇴 또는 정지되어 모든 대사기능이 저해된다.

②장해형 냉해

유수 형성기부터 개화기 사이, 특히 생식세포의 감수 분열기에 냉온의 영향을 받아서 생식기관이 정상적으로 형성되지 못하거나 또는 꽃가루의 방출 및 수정에 장해를 일으켜 결국 불임 현상이 초래되는 유형의 냉해이다.

타페트 세포의 이상비대는 장해형 냉해의 좋은 예이며, 품종이나 작물의 냉해 저항성의 기준이 되기도 한다.

③병해형 냉해

㉠벼의 경우 냉온에서는 규산의 흡수가 줄어들므로 조직의 균질화가 충분히 형성되지 못하여 도열병균의 침입에 대한 저항성이 저하된다.

㉡광합성의 저하로 체내 당 함량이 저하되고, 질소대사 이상을 초래하여 체내에 유리 아미노산이나 암모니아가 축적되어 병의 발생을 더욱 조장하는 유형의 냉해이다.

④혼합형 냉해

㉠장기간의 저온에 의하여 지연형 냉해, 장해형 냉해 및 병해형 냉해 등이 혼합된 형태로 나타나는 현상으로 수량 감소에 가장 치명적이다.

3) 냉해의 기구

①냉해 초기 증상은 세포막의 손상을 수반한다.

②저온 장해를 받은 조직은 원형질막의 침투성 증가로 전해질의 침출엽록체와 미토콘드리아의 막도 해를 입게 된다.

③저온에 민감한 작물은 장해가 일어나는 온도에서 갑작스럽게 반투막의 성질이 변하는데, 저온에 강한 작물은 그러한 갑작스러운 변화가 일어나지 않는다.

삼투막은 어떤 한계온도에서 상대적으로 유동형이 고형으로 변하게 되어 선택적 투과성에 이상을 초래한다.

4) 냉온에 의한 작물의 생육 장해

광합성 능력 저하

양수분의 흡수장해

양분의 전류 및 축적 장해

단백질 합성 및 효소 활력의 저하

꽃밥 및 화분의 세포 이상

5) 냉해 대책

내냉성 품종의 선택: 냉해에 저항성 품종 또는 냉해 회피성 품종(조생종)의 선택

②입지 조건의 개선

㉠방풍림의 설치

㉡객토, 밑다짐 등으로 누수답 개량

㉢암거배수 등으로 습답 개량

㉣지력 배양으로 건실한 생육을 꾀한다.

③보온 육묘로 못자리 냉해의 방지와 생육기간을 앞당겨서 등숙기 냉해 회피

재배방법의 개선

㉠조기재배. 조식재배로 출수. 성숙을 앞당긴다.

㉡인산. 칼리. 규산. 마그네슘 등의 충분한 시용

냉온기의 담수 : 냉해 위험의 냉온기에 수온 19~20°C 이상의 물을 15~20cm 깊이로 깊게 담수하면 냉해가 경감 방지된다.

수온 상승 책 강구

㉠수온이 20°C 이하일 때에는 물이 넓고. 얕게 고이는 온수 저류지를 설치한다.

㉡수로를 넓게 하여 물이 얕고, 넓게 흐르게 하며, 낙차 공이 많은 온조 수로를 설치한다.

㉢물이 파이프 등을 통과하도록 하여 관개 수온을 높인다.

㉣ OED(증발억제제, 수온상승제)를 10a 당 5kg 정도씩 3일 간격으로 논에 살포하여 수면증발을 억제하면 수온이 1~2°C 상승한다.

(2) 한해

1) 동해의 발생

작물 조직 내 결빙에 의해 받는 피해이며 월동작물은 흔히 동해를 입는다.

세포 외 결빙: 식물체 조직 내 결빙은 즙액 농도가 낮은 세포간극에 먼저 결빙이 생기는데 이와 같이 세포간극에 결빙이 생기는 것

세포 내 결빙: 결빙이 더욱 진전되면서 세포 내 원형질, 세포액이 얼게 되는 것

④세포 외 결빙은 세포 내 수분의 세포 밖 이동으로 세포 내 염류농도는 높아지고 수분 부족으로 원형질단백이 응고하여 세포는 죽게 된다.

⑤세포 외 결빙 시 온도의 상승으로 결빙이 급격히 융해되면 원형질이 물리적으로 파괴되어 세포는 죽게 된다.

2) 작물의 동사점

①동사점: 작물의 동결로 단시간 내에 동사하는 온도

작물의 동사점은 그 작물이 동결에 견디는 정도를 표시한다.

③동사점은 작물의 종류와 품종에 따라 차이를 보이며 동일 작물이라도 발육상태, 생육단계, 부위 등에 따라 다르다.

④작물이나 조직의 동사는 저온의 직접적인 영향이 아닌 조직 내에 결빙으로 유발된다.

3) 작물의 내동성

①생리적 요인

㉠세포 내 자유수 함량이 많으면 세포 내 결빙이 생기기 쉬워 내동성이 저하된다.

㉡세포액의 삼투압이 높으면 빙점이 낮아지고, 세포 내 결빙이 적어지며 세포 외 결빙 시 탈수저항성이 커져 원형질이 기계적 변형을 적게 받아 내동성이 증대한다.

전분함량이 낮고 가용성 당의 함량이 높으면 세포의 삼투압이 커지고 원형질단백의 변성이 적어 냉동성이 증가한다.

㉣원형질의 물 투과성이 크면 원형질 변형이 적어 내동성이 커진다.

㉤원형질의 점도가 낮고 연도가 크면 결빙에 의한 탈수와 융해 시 세포가 물을 다시 흡수할 때 원형질의 변형이 적으므로 내동성이 크다.

지유와 수분의 공존은 빙점강하도가 커져 내동성이 증대된다.

㉦칼슘 이온은 세포 내 결빙의 억제력이 크고 마그네슘 이온도 억제 작용이 있다.

㉧원형질단백에 디설파이드기(-SS기) 보다 설파하이드릴기(-SH기)가 많으면 기계적 견인력에 분리되기 쉬워 원형질의 파괴가 적고 내동성이 증대한다.

②맥류에서의 형태와 내동성

㉠초형이 포복성인 것이 직립성인 것보다 내동성이 크다

관부가 깊어 생장점이 땅속 깊이 있는 것이 내동성이 크다.

엽색이 진한 것이 내동성이 크다.

③발육 단계와 내동성

㉠작물은 생식생장기가 영양생장기에 비해 내동성이 극히 약하다.

㉡가을밀의 경우 2~4 엽기의 영양체는 -17°C에서도 동사하지 않고 견디나 수잉기 생식기관은 -1.3~ 1.8°C에서도 동해를 받는다.

④내동성의 계절적 변화

월동하는 겨울작물의 내동성은 기온의 저하에 따라 차차 증대하고, 다시 높아지면 점점 감소된다.

㉡경화: 월동 작물이 5°C 이하의 저온에 계속 처하게 되면 냉동성이 커지는 것

㉢경화 상실: 경화된 것을 다시 높은 온도에 처리하면 원래 상태로 되돌아오는 것

휴면상태 일 때 냉동성이 크다.

4) 작물의 한해대책

①일반 대책

㉠내동성 작물과 품종의 선택

㉡입지조건의 개선

-방풍 시설로 찬바람의 내습 경감

-토질의 개선으로 서리 발생 억제

-배수

보온재배

이랑을 세워 뿌림 골을 깊게 한다.

적기 파종과 파종량을 늘려준다.

서리 시 적절한 답압 (보리밟기)

②응급대책

㉠관개법: 저녁 관개는 물의 열을 토양에 보급하고 낮에 더워진 지중열을 받아 올리며 수증기가 지열의 발산을 막아서 동상해를 방지할 수 있다.

㉡송풍법: 동상해가 발생하는 밤의 지면 부근 온도 분포는 온도역전 현상으로 지면에 가까울수록 온도가 낮은데 송풍기 등으로 기온역전 현상을 파괴하면 작물 부근의 온도를 높여서 상해를 방지할 수가 있다.

㉢피복법: 이엉, 거적, 플라스틱필름 등으로 작물체를 직접 피복하면 작물체로부터의 방열을 방지한다.

㉣연소법: 연료를 태워 그 열을 작물에 보내는 적극적인 방법

㉤살수 빙결법: 작물체의 표면에 물을 뿌려주는 방법

③사후대책

속효성 비료의 추비 및 엽면시비로 생육을 촉진시킨다.

병충해를 철저히 방제한다.

㉢동상해 후에는 낙화하기 쉬우므로 적화 시기를 늦춘다.

㉣피해가 심한 경우 대파를 강구한다.

728x9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