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해평가사농학개론재배학및원예작물학

손해평가사 농학개론 재배학및 원예작물학 #8

sinye336 2025. 4. 12. 11:30
728x90
SMALL
손해평가사 농학개론 중 재배학 및 원예작물학
제8강

 

(2) 간척지 토양

1) 특성

①염분의 해작용: 토양 중 염분이 과다하면 물리적으로 토양 용액의 삼투압이 높아져 벼 뿌리의 수분 흡수가 저해되고 화학적으로는 특수 이온을 이상 흡수하여 영양과 대사를 저해한다.

②황화물의 해작용 : 해면 하에 다량 집적되어 있던 황화물이 간척 후 산화되면서 황산이 되어 토양이 강산성이 된다.

③토양 물리성의 불량: 점토가 과다하고 나트륨 이온이 많아 토양의 투수성, 통기성이 매우 불량하다.

2) 개량 방법

관배수 시설로 염분, 황산의 제거 및 이상 환원 상태의 발달을 방지한다.

석회를 시용하여 산성을 중화하고 염분의 용탈을 쉽게 한다.

석고, 토양 개량제, 생짚등을 시용하여 토양의 물리성을 개량한다.

제염법으로 담수법, 명거법, 여과법, 객토 등이 있는데 노력 , 경비, 지세를 고려하여 합리적 방법을 선택

3)내염재배

①의의: 염분이 많은 간척지 토양에 적응하는 재배법

내염성이 강한 품종을 선택한다.

작물의 내염성

밭작물
과수
사탕무, 유채, 양배추, 목화
-
앨팰퍼,토마도, 수수, 보리, 밀, 호밀, 아스파라거스, 시금치, 양파, 호박
무화과, 포도, 올리브
완두, 샐러리, 고구마, 감자, 가지, 녹두
배, 살구, 복숭아, 귤, 사과

조기재배 및 휴립재배 한다.

⑤논에 물을 말리지 않고 자주 환수한다.

석회, 규산 석회, 규회석 등을 충분히 시비한다.

비료는 여러 차례 나누어 시비하고 시비량은 많게 한다.

12. 토양오염 및 토양 보호

(1) 중금속오염

금속광산 폐수 등이 농경지에 들어가면 대부분 토양에 축적된다.

(2) 염류집적의 대책

1) 염류집적

①염류 집적은 토양수분이 적고 산성토양 일수로 심하다.

②염류의 농도가 높으면 삼투압에 의한 양분의 흡수가 이루어지지 못한다.

유근의 세포가 저해받아 지상부 생육 장해와 심한 경우 고사한다.

2) 대책

①유기물의 시용

②담수 처리

③객토 및 심경

④피복물의 제거

⑤흡비작물 이용 : 옥수수, 수수, 호밀, 수단그라스 등

(3) 토양 보호

1) 수식

①원인

㉮강우 : 강한 강우는 표토의 비산이 많고 유거수가 일시에 많아져 표토가 유실된다.

㉯ 토양의 성질

㉠내수성 입단의 형성, 심토의 투수성은 침식이 적다.

㉡식토는 빗물의 흡수가 적어 침식되기 쉽다.

㉢사토는 분산되기 쉬워 침식이 쉽다.

㉣자갈은 강우의 타격을 견디고 유거수를 일시 정체시켜 토양침투를 조장해 침식이 적다.

㉰지형

경사가 급하면 유거수 유속이 빨라져 침식이 조장된다.

㉡경사장이 길면 유거수의 가속도에 의해 침식이 조장된다.

㉢적설이 많고 식생이 적은 사면은 침식이 많다.

㉣바람이 세거나 토양이 불안정한 사면은 침식이 많다.

㉱식생

식생은 강우의 타격을 막고 유거수의 유속을 줄여 토양침투를 많게 하여 침식을 막는다.

㉡침식은 식생의 피복도가 클수록 경감된다.

②대책

㉠조림

㉡초생 재배

㉢단구식 재배

㉣대상재배

㉤등고선경작

㉥토양피복

2) 풍식

①원인: 토양이 가볍고 건조할 때 강풍에 의해 발생한다.

②대책

㉠방풍림, 방풍울타리 등의 조성

㉡피복식물의 재배

㉢관개하여 토양을 젖어 있게 한다.

㉣이랑을 풍향과 직각으로 한다.

㉤겨울에 건조하고 바람이 센 지역은 높이 베기로 그루터기를 이용해 풍력을 약화시키며 지표에 잔재물을 그대로 둔다.

제2 절 수분

1 물의 생리작용

(1) 생리 작용

1) 작물의 수분

①생체의 70% 이상은 수분으로 원형질에 약 75% 이상, 다즙식물은 70~80% , 다육식물은 85~95%, 목질부에는 50%의 수분이 함유되어 있다.

②건조한 종자라도 10% 이상 수분을 함유하고 있다.

잎의 수분함량 감소로 기공의 폐쇄가 시작되며 이는 수분의 소비를 억제하며, 이산화탄소의 흡수가 억제되면서 광합성도 억제된다.

2) 작물생육에 있어 수분의 기본 역할

원형질의 생활 상태를 유지한다.

②식물체 구성 물질의 성분이다.

③식물체에 필요한 물질의 흡수 용매가 된다.

④세포 긴장상태를 유지시켜 식물의 체제 유지를 가능하게 한다.

⑤필요 물질의 합성, 분해의 매개체가 된다.

⑥식물의 체내 물질 분포를 고르게 하는 매개체가 된다.

(2) 수분퍼텐셜

물의 퍼텐셜에너지는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한다.

②물의 이동

㉠삼투압: 낮은 삼투압 → 높은 삼투압

㉡ 수분퍼텐셜

: 높은 수분퍼텐셜 → 낮은 수분퍼텐셜

(3) 흡수의 기구

1) 삼투압

①삼투: 식물세포의 원형질 막은 인지질로 된 반투막이며, 외액이 세포액보다 농도가 낮은 때는 외액의 수분 농도가 세포액보다 높은 결과가 되므로 외액의 수분이 반투성인 원형질 막을 통하여 세포 속으로 확산해 들어가는 것

②삼투압 : 내. 외액의 농도 차에 의해서 삼투를 일으키는 압력

2) 팽압

① 삼투에 의해서 세포 내의 수분이 늘면 세포의 크기를 증대시키려는 압력

식물의 체제 유지를 가능하게 한다.

3)막압

팽압에 의해 늘어난 세포막이 탄력성에 의해서 다시 안으로 수축하려는 압력

4) 흡수압

삼투압은 세포 내로 수분이 들어가려는 압력이고, 막압은 세포 외로 수분이 배출하는 압력으로 볼 수 있으므로 실제의 흡수는 삼투압과 막압의 차이에 의해서 이루어지며, 이것을 흡수압 또는 DPD(확산압차)라고 한다.

 

 

728x9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