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해평가사농학개론재배학및원예작물학

손해평가사 농학개론 재배학 및 원예작물학 #4

sinye336 2025. 4. 10. 11:00
728x90
SMALL
 손해평가사 농학개론 중 재배학 및 원예작물학
제4강

 

제3 장 재배환경 및 재해

제1 절 토양

1. 지력

(1) 의의

①토양은 재배작물의 수량을 지배한다.

토양의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인 모든 성질이 작물이 생산력을 지배하므로 이를 지력이라 하며 주로 물리적 및 화학적 지력 조건을 토양 비옥 도라 하기도 한다.

(2) 토성

양토를 중심으로 사양토 내지 식양토가 수분, 공기 및 비료성분의 종합적 조건에 알맞다. 사토는 수분 및 비료성분이 부족하고, 식토는 공기가 부족하다.

(3) 토양구조

입단구조와 단립구조로 나누며 입단구조에서 토양의 수분과 공기 상태가 좋아진다.

(4) 토층

작토가 깊고 양분의 함량이 충분하며 심토까지 투수성 및 투기성이 알맞아야 한다.

(5) 토양반응

중성 내지 약산성이 알맞다. 강산성 또는 알칼리성 이면 작물 생육이 저해된다.

(6) 유기물 및 무기성분

대체로 토양 중의 유기물 함량이 증가할수록 지력이 높아지나 습답에서 유기물 함량은 많은 것은 도리어 해가 될 수 있다.

②무기 성분이 풍부하고 균형 있게 포함되어 있어야 지력이 높다.

비료의 3요소인 질소, 인산, 칼륨은 함량이 높아야 하며 일부 성분의 과다 또는 결핍은 생육을 저해한다.

(7) 토양수분과 토양공기

①토양 수분의 부족은 한 해를 유발하며, 과다는 습해나 수해가 유발된다.

②토양 공기는 토양수분과 관계가 깊으며 토양 중의 공기가 적거나, 산소의 부족, 이산화탄소 등 유해가스의 과다는 작물 뿌리의 생장과 기능을 저해한다.

(8) 토양미생물

유용미생물의 번식에 좋은 상태에 있는 것이 유리하고 병충해를 유발하는 미생물이 적어야 한다.

(9) 유해 물질

유해 물질들에 의한 토양의 오염은 작물 생육을 저해하고, 심하면 생육이 불가능하게 된다.

2. 토양의 기계적 조성

(1) 토양의 3상

1) 토양의 3상 구성

①토양은 여러 토양입자로 구성되어 있고 이들 입자 사이에는 공극이 존재하며 이 공극에는 공기 또는 액체가 존재한다.

②토양의 3상

㉠고상: 유기물, 무기물인 흙

㉡기상: 토양 공기

㉢액상: 토양 수분

2) 토양의 3상과 작물의 생육

고상 : 기상 : 액상의 비율이 50% : 25% :25% 로 구성토양이 보수, 보비력, 통기성이 좋아 이상적이다.

②토양 3 상의 비율은 토양 종류에 따라 다르고 같은 토양 내에서도 토층에 따라 차이가 크다.

③기상과 액상의 비율은 기상조건 특히 강우에 따라 크게 변동한다.

고상유기물과 무기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일반적으로 고상의 비율은 입자가 작고 유기물 함량이 많아질수록 낮아진다.

작물은 고상에 의해 기계적 지지를 받고, 액상에서 양분과 수분을 흡수하며 기상에서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흡수한다.

액상의 비율이 높으면 통기가 불량하고 뿌리의 발육이 저해된다.

기상의 비율이 높으면 수분 부족으로 위조, 고사한다.

(2) 토양입자의 분류

1) 토양은 크고 작은 여러 입자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으며 토양입자를 입경에 따라 구분한다.

토양의 입경에 다른 토양입자의 분류법

 

2) 자갈

①암석의 풍화로 맨 먼저 생긴 여러 모양의 굵은 입자이다.

②화학적, 교질적 작용이 없고 비료분, 보수력도 약하다.

투기성, 투수성은 좋게 한다.

3) 모래

①석영을 많이 함유한 암석이 부서져 생긴 것으로 입경에 따라 거친 모래, 보통 모래, 고운 모래로 세분된다.

② 거친 모래는 자갈과 비슷한 특성을 가지나, 고운 모래는 물이나 양분을 다소 흡착하고 투기성 및 투수성을 좋게 하며, 토양을 부드럽게 한다.

4) 점토

①토양 중의 가장 미세한 입자이며, 화학적. 교질적 작용을 하며 물과 양분을 흡착하는 힘이 크고 투기. 투수를 저해한다.

점토나 부식은 입자가 미세하고, 입경이 1㎛ 이하이며, 특히 0.1㎛ 이하의 입자교질로 되어 있다.

③교질 입자는 보통 음이온(-)을 띠고 있어 양이온을 흡착한다.

토양 중에 교질 입자가 많아지면 치환성 양이온을 흡착하는 힘이 강해진다.

⑤양이온 치환용량(CEC) 또는 염기치환용량(BEC): 토양 100g이 보유하는 치환성 양이온의 총량을 mg 당량(me)으로 표시한 것

토양 중 고운 점토와 부식이 증가하면 CEC동 증대된다.

㉡ CEC가 증대되면 NH₄⁺, K ⁺, Ca ⁺⁺, Mg ⁺⁺ 등의 비료성분을 흡착 및 보유하는 힘이 커져서 비료를 많이 주어도 일시적 과잉흡수가 억제된다.

비료성분의 용탈이 적어서 비효가 늦게까지 지속된다.

토양의 완충능이 커지게 된다.

5) 토성

①토양 입자의 입경에 따라 나눈 토양의 종류로 모래와 점토의 구성비로 토양을 구분하는 것

②식물의 생육에 중요한 여러 이화학적 성질을 결정하는 기본 요인이다.

③입경 2mm 이하의 입자로 된 토양을 세토라고 하며, 세토 중의 점토함량에 따라서 토성을 분류한 것

토성의 분류법

 

④점토함량과 함께 미사, 세사, 조사의 함량까지 고려하여 토성을 더욱 세분하기도 한다.

㉠사토 : 척박하고, 한 해를 입기 쉬우며, 토양침식이 심하여 점토의 객토, 유기물을 중시하여 토성을 개량할 필요가 있다.

㉡식토 : 통기 및 통수의 불량과 유기질의 분해가 더뎌 습해난 유해 물질에 의한 피해를 받기 쉬우며 점착력이 강하고, 건조하면 굳어져서 경작이 곤란하므로 미사, 부식을 많이 주어서 토성을 개량할 필요가 있다.

3. 토양의 구조 및 토층

(1) 토양구조

토성이 같아도 토양의 물리적 성질이 다른 것은 알갱이들의 결합. 배열 방식 즉, 구조가 다르기 때문이다.

1) 토양의 구조 : 단립(홑아) 구조, 이상 구조, 입단(떼일) 구조들의 형태로 존재한다.

①단립 구조

비교적 큰 토양입자가 서로 경합되어 있지 않고 독립적으로 단일 상태로 집합되어 이루어진 구조이다.

해안의 사구지에서 볼 수 있다.

대공극이 많고 소공극이 적어 토양통기와 투수성은 좋은 나 보수, 보비력은 낮다.

② 이상 구조

㉠미세한 토양입자가 무구조, 단일 상태로 집합된 구조로 건조하면 각 입자가 서로 결합하여 부정형 흙덩이를 이루는 것이 단일 구조와는 차이를 보인다.

㉡부식 함량이 적고 과식한 식질 토양이 많이 보이며 소공극은 많고 대공극은 적어 토양통기가 불량하다.

③입단 구조

단일입자가 결합하여 2차 입자가 되고 다시 3차, 4차 등으로 집합해서 입단을 구성하고 있는 구조이다.

입단을 가볍게 누르면 몇 개의 작은 입단으로 부스러지고, 이것을 다시 누르면 다시 작은 입단으로 부스러진다.

유기물과 석회가 많은 표토층에서 많이 나타난다.

대공극과 소공극이 모두 많아 통기와 투수성이 양호하며 보수력과 보비력이 높아 작물 생육에 알맞다.

(2) 입단의 형성과 파괴

1) 입단의 형성

①입단 구조가 이루어지려면 알갱이들이 일차적으로 서로 가까워져야 하고 알갱이들을 단단하게 결합시키는 접착제와 같은 물질이 있어야 한다. 이런 물질을 결합체라고 한다.

②입단 구조를 형성하는 주요 인자

㉠유기물과 석회의 사용: 유기물이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면서 미생물이 분비하는 점질 물질이 토양입자를 경합시키며 석회는 유기물의 분해 촉진과 칼숨이온 등이 토양입자를 결합시키는 작용을 한다.

㉡콩과 작물의 재배 : 콩과 작물은 잔뿌리가 많고 석회분이 풍부해 입단 형성에 유리하다.

㉢토양이 지렁이체내를 통하여 배설되면 내수성 입단구조가 발달한다.

㉣토양의 피복: 유기물의 공급 및 표토의 건조, 토양유실의 방지로 입단 형성과 유지에 유리하다.

㉤토양개량제의 시용 : 인공적으로 합성된 고분자 화합물인 아크리 소일, 크릴륨드의 작용도 있다.

2) 입단 구조의 중요성

① 작은 입자로 되어 있는 단립구조의 토양은 입자 사이에 생기는 공극도 작기 때문에 공기의 유통이나 물의 이동이 느리며 건조하면 땅 갈기가 힘이 든다. 입단구조는 소공극과 대공극이 모두 많아 소공극은 모세관력에 의해 수분을 보유하는 힘이 크고 대공극은 과잉된 수분을 배출한다.

②입단 구조의 장점

㉠배수가 잘 된다.

㉡공기가 잘 통한다.

㉢풍화되지 않는다.

㉣물에 의한 침식이 줄어든다.

㉤땅이 부드러워져 땅 갈이가 쉬워진다.

㉥물을 알맞게 간직할 수 있는 좋은 토양이 된다.

③입단의 크기가 너무 커지면 물을 간직할 수 없고 공극의 크기도 커지게 되므로, 어린 식물은 가뭄의 피해를 입을 수 있다.

④토양 입단 알갱이의 지름은 1~2mm 범위의 것이 알맞으며 많이 생길수록 좋다.

3) 입단 구조를 파괴하는 요인

토양이 너무 마르거나 젖어 있을 때 갈기를 하는 것은 입단을 파괴시킬 우려가 있으므로 피해야 한다.

나트륨 이온(Na ⁺)은 알갱이들이 엉기는 것을 방해하므로, 이것이 많이 들어 있는 물질이 토양에 들어가면 토양의 물리적 성질을 약화시키게 된다.

입단의 팽창과 수축의 반복

비, 바람

(3) 토층

1) 의의

토양의 수직적으로 분화된 층위를 말함

2) 토양학적 토층의 분류

①지면을 수직으로 파 내려간 다음 단면을 조사해 보면, 토양의 빛깔과 알갱이의 크기를 달리하는 몇 개의 층으로 구분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들 토양의 층을 토층 또는 층위라 하며, 토양의 단면이 몇 개의 층으로 나누어지는 것을 토층의 분화라 한다.

②토층의 구분: 토층은 O 층, A 층, B 층, C 층, R 층의 5개 층으로 크게 구분한다.

토층의 구분

 

3) 경지의 토층 구분

①경지에서는 3가지로 토양을 분류한다.

㉮작토

계속 경운 되는 층위경토라 부르며 작물의 뿌리가 주로 발달하는 층위로 작물의 생육과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다.

부식이 많고 흙이 검다.

입단의 형성이 좋다.

㉯서상

㉠ 작토층 바로 아래 층위

㉡ 작토보다 부식이 적다

㉰심토(하층토)

㉠ 서상층 밑의 하층으로 하층토라 부른다.

㉡ 일반적으로 부식이 극히 적고 구조가 치밀하다

②경지의 토층과 작물 생육

㉠경지의 토층은 작물의 생육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특히 작토의 질적, 양적 문제는 작물 뿌리의 발달과 생리작용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

㉡ 일반적으로 작토층은 가급적 깊은 것이 좋으므로 심경으로 작토층을 깊게 하는 것이 좋다.

질적으로는 양토를 중심으로 사양토 내지 식양토로 유기물과 유효성분이 풍부한 것이 좋다.

심토너무 치밀하면 투수성과 투기성이 불량해져 지온이 낮아지고 뿌리가 깊게 뻗지 못해 생육이 나빠진다.

논에서 심토가 과도하게 치밀하면 투수가 몹시 불량해져 토양 공기의 부족으로 유기물 분해의 억제, 유해가스의 발생과 경우에 따라 지온이 낮아져 벼의 생육이 나빠지므로 지하배수를 적당히 꾀하여야 한다.

㉥작물 재배의 토성의 범위는 넓으나 많은 수량과 좋은 품질의 생산물을 안정적으로 생산하려면 알맞은 토성의 선택이 중요하며 토성에 따라 배수를 달리해야 한다.

 

728x9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