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해평가사농학개론재배학및원예작물학

손해평가사 농학개론 중 재배학및 원예작물학 #35

sinye336 2025. 4. 26. 08:01
728x90
SMALL
손해평가사 농학개론 중 재배학 및 원예작물학
제35강

 

(5) 시비방법 및 비료의 배합

1) 시비방법

①평면적으로 본 분류

㉮전면시비

논이나 과수원에서 여름철 속효성비료의 시용은 전면시비를 한다.

㉯부분 시비

시비구를 파고 비료를 시비하는 방법

㉡조파나 점파시 작조 옆에 골을 파고 시비하는 방식과 과수의 경우 주위에 방사상 또는 윤상의 골을 파고 시비하는 방식, 구덩이를 파고 시비한 후 작물이나 수목을 심는 방법

②입체적으로 본 분류

㉠표층 시비: 토양의 표면에 시비하는 방법으로 작물 생육기간 중 포장에 사용되는 방법

심층시비: 작토 속에 시비하는 방법으로 논에서 암모니아태질소를 시용하는 경우 유용하다.

전층시비: 비료를 작토 전 층에 고루 혼합되도록 시비하는 방법

2) 비료의 배합

한 종류를 단독으로 시용하기도 하난 작업의 편의상 여러 종류의 비료를 배합하여 시용하기도 하는데 배합 시 다음의 사항을 주의해야 한다.

①비료 성분이 소모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②비료의 성분이 불용성이 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③습기를 흡수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7) 엽면시비

1) 의의

①식물체는 뿌리뿐만 아니라 잎에서도 비료 성분을 흡수할 수 있는데 이를 이용하여 작물체에 직접 시비하는 것을 의미한다.

잎의 비료 성분의 흡수는 표면보다는 이면에서 더 잘 흡수되는데 이는 잎의 표면 표피는 이면 표피보다 큐티클 층이 더 발달되어 물질의 투과가 용이하지 않고 이면은 살포액이 더 잘 부착되기 때문이다.

③엽면 흡수의 속도 및 분량은 작물 종류, 생육상태, 살포액의 종류와 농도 및 살포방법, 기상조건 등에 따라 달라진다.

2) 엽면시비의 실용성

작물에 미량요소의 결핍증이 나타났을 경우

결핍증을 나타나게 하는 요소를 토양에 시비하는 것보다 엽면에 시비하는 것이 효과가 빠르고 사용량도 적어 경제적이다.

작물의 초세를 급속히 회복시켜야 할 경우: 작물이 각종 해를 받아 생육이 쇠퇴한 경우 엽면시비는 토양시비 보다 빨리 흡수되어 시용의 효과가 매우 크다.

토양시비로는 뿌리 흡수가 곤란한 경우: 뿌리가 해를 받아 뿌리에서의 흡수가 곤란한 경우 엽면시비에 의해 생육이 좋아지고 신근이 발생하여 피해가 어는 정도 회복된다.

토양시비가 곤란한 경우: 참외, 수박 등과 같이 덩굴이 지상에 포복 만연하여 추비가 곤란한 경우, 과수원의 초생재배로 인해 토양시비가 곤란한 경우, 플라스틱필름 등으로 표토를 멀칭 하여 토양에 직접적인 시비가 곤란한 경우 등에는 엽면시비는 시용 효과가 높다.

특수한 목적이 있을 경우

㉠엽면시비는 품질 향상을 목적으로 실시하는 경우도 많다.

㉡채소류의 엽면시비는 엽색을 좋게 하고, 영양가를 높인다.

㉢보리, 채소, 화초 등에서는 하엽의 고사를 막는 효과가 있다.

㉣청예사료작물에서는 단백질함량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뽕나무 또는 차 나무의 경우 엽면시비는 찻잎의 품질을 향상시킨다.

3) 엽면시비 시 흡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①잎의 표면보다는 이면이 흡수가 더 잘 된다.

②잎의 호흡작용이 왕성할 때 흡수가 더 잘 되므로 가지 또는 정부에 가까운 잎에서 흡수율이 높고 노엽보다는 성엽이, 밤보다는 낮에 흡수가 더 잘 된다.

③살포액의 pH는 미산성이 흡수가 잘 된다.

④살포액에 전착제를 가용하면 흡수가 조장된다.

⑤작물에 피해가 나타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농도가 높을 때 흡수가 빠르다.

석회의 시용은 흡수를 억제하고 고농도 살포의 해를 경감한다.

⑦작물의 생리작용이 왕성한 기상조건에서 흡수가 빠르다.

 

(8) 시비량과 시비 시기

1) 시비량

①시비량은 작물의 종류 및 품종, 지력의 정도, 재배양식 등에 따라 결정한다.

②시비량의 결정은 수량과 품질의 향상, 비료의 가격 등을 고려해 경제적으로 유리해야 한다.

③시비량의 계산

㉠시비량 계산

시비량 = 비료요소의 흡수량 - 천연 공급량 / 비료요소의 흡수율

㉡비료 중의 성분량 계산

성분량 = 비료량 × 보증성분량(%) / 100

㉢ 비료의 중량계산

비료의 중량 = 비료량 × 100/ 보증성분량(%)

2) 시비 시기

기비(밑거름): 파종 또는 이식 시 주는 비료

추비(덧거름): 작물의 생육 중간에 추가로 주는 비료

③시비 시기와 횟수는 작물 종류, 비료 종류, 토양과 기상조건, 재배양식 등에 따라 달라지며 일반적 원리는 다음과 같다.

지효성 또는 완효성 비료, 인산, 칼리, 석회 등의 비료는 일반적으로 기비로 준다.

속효성 질소비료는 생육기간이 극히 짧은 작물을 제외하고는 대체로 추비와 기비로 나누어 시비한다.

생육기간이 길고 시비량이 많은 작물은 기비량을 줄이고 추비량을 많게 하고 추비 횟수도 늘린다.

㉣속효성 비료일지라도 평지 감자 재배와 같이 생육기간이 짧은 경우 주로 기비로 시비하고 맥류와 병와같이 생육기간이 긴 경우 나누어 시비한다.

㉤조식재배로 생육기간이 길어진 경우 또는 다비재배의 경우 기비 비율을 줄이고 추비 비율을 높이고 횟수도 늘린다.

㉥누수답과 같이 비료분의 용탈이 심한 경우 추비 중심의 분시를 한다.

㉦잎을 수확하는 엽채류와 같은 작물은 늦게까지 질소비료를 추비로 주어도 좋으나 종실을 수확하는 작물의 경우 마지막 시비 시기에 주의해야 한다.

㉧비료의 유실이 쉬운 누수답, 사력답, 온난지 등에서는 추비량과 횟수를 늘린다.

 

728x9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