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해평가사농학개론재배학및원예작물학

손해평가사 농학개론 중 재배학및 원예작물학 #37

sinye336 2025. 4. 27. 08:08
728x90
SMALL
손해평가사 농학개론 중 재배학 및 원예작물학
제37강

 

(5) 생육형태의 조정

1) 정지

과수 등을 자연적 생육형태가 아닌 인공적으로 변형시켜 목적하는 생육형태로 유도하는 것을 정지라 한다.

①입목형 정지

㉮주간형(원추형)

㉠수형이 원추상태가 되도록 하는 정지방법이다.

주지수가 많고 주간과 결합이 강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수고가 높아 관리가 불편하다.

㉢풍해를 심하게 받을 수 있고 아래쪽 가지는 광부족으로 발육이 불량해지기 쉽다.

과실의 품질이 불량해지기 쉽다.

왜성사과나무, 양앵두 등에 적용된다.

㉯배상형(개심형)

㉠주간을 일찍 잘라 짧은 주간에 3~4개의 주지를 발달시켜 수형이 술잔모양으로 되게 하는 정지법이다.

장점은 관리가 편하고 수관 내 통풍과 통광이 좋다.

단점은 주지의 부담이 커서 가지가 늘어지기 쉽고 결과수가 적어진다.

배, 복숭아, 자두 등에 적용된다.

㉰변칙주간형

㉠주간형과 배상형의 장점을 취할 목적으로 초기에는 수년간 주간형으로 재배하다 후에 주간의 선단을 잘라 주지가 바깥쪽으로 벌어지도록 하는 정지법이다.

㉡주간형의 단점인 높은 수고와 수관 내 광부족을 개선한 수형이다.

사과, 감, 밤, 서양배 등에 적용한다.

㉱개심자연형

㉠배상형의 단점을 개선한 수형으로 짧은 주간에 2~4개의 주지를 배치하되 주지 간 15cm 정도 간격을 두고 바퀴살가지가 되는 것을 피하고 주지는 곧게 키우되 비스듬하게 사립 시켜 결과부를 배상형에 비해 입체적으로 구성한다.

㉡수관 내부가 완전히 열려있어 투광률이 좋고, 과실의 품질이 좋으며, 수고가 낮아 관리가 편하다.

②울타리형 정지

포도나무의 정지법으로 흔히 사용되는 방법이다.

㉡가지를 2단 정도 길게 직선으로 친 철사 등에 유인하여 결속하는 정지방법이다.

장점은 시설비가 적게 들어가고 관리가 편하다.

단점은 나무의 수명이 짧아지고 수량이 적다.

㉤관상용 배나무, 자두나무 등에서도 쓰인다.

③덕형정지(덕식)

㉠공중1.8m 정도 높이에 가로, 세로 철선 등을 치고 결과부를 평면으로 만들어주는 수형이다.

포도나무, 키위, 배나무 등에 적용한다.

㉢장점은 수량이 많고 과실의 품질도 좋아지며 수명도 길어진다.

㉣단점은 시설비가 많이 들어가고 관리가 불편하다.

배나무에서는 풍해를 막을 목적으로 적용하기도 한다.

㉥정지, 전정, 수세조절 등이 잘 안되었을 때 가지가 혼잡해져 과실의 품질저하나 병해충의 발생증가 등 문제점도 있다.

2)전정

①의의 : 정지를 위한 가지의 절단, 생육과 결과의 조절 등을 위한 과수 등의 가지를 잘라주는 것을전정이라 한다.

②전정의 효과

목적하는 수형을 만든다.

병충해 피해 가지, 노쇠한 가지, 죽은 가지 등을 제거하고 새로운 가지로 갱신하여 결과를 좋게 한다.

통풍과 수광을 좋게 하여 품질 좋은 과실이 열리게 한다.

결과부위의 상승을 억제하고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한다.

보호 및 관리가 편리하게 한다.

결과지의 알맞은 절단으로 결과를 조절하여 해거리를 예방하고 적과 노력을 줄일 수 있다.

③전정 방법

갱신전정: 오래된 가지를 새로운 가지로 갱신을 목적으로 하는 전정이다.

솎음전정: 밀생한 가지를 솎기 위한 목적으로 하는 전정이다.

보호전정: 죽은 가지, 병충해 가지 등의 제거를 목적으로 하는 전정이다.

절단전정: 가지를 중간에서 절단하는 전정법으로 남은 가지의 장단에 따라 정전정법, 단전정법으로 구분한다.

㉤전정 시기에 따라 휴면기 전정은 동계전정, 생장기 전정은 하계전정으로 구분한다.

④전정시 주의 사항

㉠작은 가지를 전정할 떄는 예리한 전정가위를 사용해야 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 유합이 늦어지고 불량해진다.

㉡전정 시 가장 위에 남는 눈의 반대쪽으로 비스듬히 자른다.

㉢전정 시 전정가위로 한 번에 자르지 않고 여러 번 움직여 자르면 절단면이 고르지 못하고 유합이 늦어진다.

㉣전정 시 절단면이 넓으면 도포제를 발라 상처부위를 보호하고 빨리 재생시켜야 한다.

⑤과수의 결과 습성

1년생 가지에 결실하는 과수 : 포토, 감, 밤, 무화과, 호두 등

2년생 가지에 결실하는 과수: 복숭아, 자두, 살구, 매실, 양앵두 등

3년생 가지에 결실하는 과수: 사과, 배 등

3) 그 밖의 생육형태 조정법

①적심(순 지르기)

주경 또는 주지의 순을 질러 그 생장을 억제시키고 측지 발생을 많게 하여 개화, 착과, 착립을 조장하는 작업이다.

㉡과수, 과채류, 두류, 목화 등에서 실시된다.

㉢담배의 경우 꽃이 진 뒤 순을 지르면 잎의 성숙이 촉진된다.

②적아(눈 따기)

㉠눈이 트려 할 때 불필요한 눈을 따주는 작업이다.

포도, 토마토, 담배 등에서 실시된다.

③환상박피

㉠줄기 또는 가지의 껍질을 3~6cm 정도 둥글게 벗겨내는 작업이다.

화아분화의 촉진 및 과실의 발육과 성숙이 촉진된다.

④적엽(잎 따기)

통풍과 투광을 조장하기 위해 하부의 낡은 잎을 따는 작업이다.

토마토, 가지 등에서 실시된다.

⑤절상

눈 또는 가지 바로 위에 가로로 깊은 칼금을 넣어 그 눈이나 가지의 발육을 조장하는 작업이다.

⑥은곡(휘기)

가지를 수평이나 그 보다 더 아래로 휘어서 가지의 생장을 억제시키고 정부우세성을 이동시켜 기부에 가지가 발생하도록 하는 작업이다.

⑦제얼

㉠감자 재배의 경우1 포기에 여러 개의 싹이 나올 때 그 가운데 충실한 것을 몇 개 남기고 나머지를 제거하는 작업이다.

토란, 옥수수의 재배에도 이용된다.

⑧화훼의 형태조정

㉠노지 장미재배의 경우 겨울철 전정을 하고 낡은 가지, 내향지, 불필요한 잔가지 등을 절단하고 건강한 새 가기자 균형적으로 광을 잘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카네이션 재배의 경우 적심을 한다.

㉢국화와 카네이션 재배의 경우 정화를 크게 하기 위해 곁꽃봉오리를 다 주는 적뢰를 실시한다.

㉣국화 재배의 경우 재배방식과 관계없이 적심 하여 3~4개의 곁가지를 내게 한다.

㉤화목의 묘목 또는 알뿌리 생산의 경우 번식기관의 생장을 돕기 위해 적화를 한다.

 

728x9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