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해평가사농학개론재배학및원예작물학

손해평가사 농학개론 중 재배학및 원예작물학 #38

sinye336 2025. 4. 27. 13:00
728x90
SMALL
 손해평가사 농학개론 중 재배학 및 원예작물학
제38강

 

(6) 결실의 조절

1) 적화 및 적과

①과수 등에 있어 개화 수가 너무 많을 경우 꽃눈이나 꽃을 솎아서 따주는 작업적화라 하고 착과수가 너무 많을 경우 유과를 솎아 따주는 작업적과라 한다.

손으로 직접 하기도 하지만 근래 식물생장조절제를 많이 이용한다,

적화제: 꽃봉오리 또는 꽃의 화기에 장해를 주는 약제로 DNOC, 석회황합제, 질산암모늄, 요소, 계면활성제 등이 알려져 있다.

적과제 : NAA, 카르바릴, MEP, 에세폰, ABA, 에틸클로제트, 벤질아데닌(BA) 등이 있으며 대표적으로 사과의 카르바릴과 감귤의 NAA가 널리 쓰인다.

⑤효과

착색, 크기, 맛 등 과실이 품질을 향상시킨다.

해거리 방지 효과가 있다.

㉢감자의 경우 화방이 형성되었을 때 이를 따주면 덩이줄기의 발육이 조장된다.

2) 수분의 매개

①수분의 매개가 필요한 경우

수분을 매개할 곤충이 부족할 경우

흐리고 비 오는 날이 계속되거나, 농약 살포가 심한 경우 및 온실 등에서 재배할 때 등의 경우는 수분 매개곤충이 부족할 수가 있다.

작물 자체의 화분이 부적당하거나 부족한 경우

㉠잡종강세를 이용하는 옥수수 등의 채종에 있어서는 다른 개체의 꽃가루가 수분되도록 해야 한다.

㉡3 배체의 씨 없는 수박의 재배에 있어서 2 배체의 정상 꽃가루를 수분해야 과실이 잘 비대한다.

㉢과수에서는 자체 꽃가루가 많이 부족하므로 다른 품종의 꽃가루가 공급되어야 한다.

다른 꽃가루의 수분이 결과에 더 좋은 경우

㉠감의 부유와 같은 품종은 꽃가루가 없어도 완전한 단위결과를 하지만 다른 꽃가루를 수분하면 낙과가 경감되고 품질이 향상된다.

㉡과수에서는 자체의 꽃가루로 정상 과실을 생산하는 경우라도 다른 꽃가루로 수분되는 것이 더 좋은 결과를 초래하는 경우도 있다.

②수분 매개의 방법

㉮인공수분

과채류 등에서 손으로 인공수분하는 경우도 있고 사과나무 등 과수에서는 꽃가루를 대량으로 수집하여 살포 기구를 이용하기도 한다.

㉯곤충의 방사

과수원, 채소밭 근처에 꿀벌을 사육하거나 온실 등에서 꿀벌을 방사하여 수분을 매개한다.

㉰수분수의 혼식

㉠사과나무 등 과수의 경우 꽃가루의 공급을 위해 다른 품종을 혼식하는 것을 수분수라 한다.

㉡수분수 선택의 조건은 주품종과 친화성이 있어야 하고, 개화기가 주품종과 같거나 조금 빨라야 하며, 건전한 꽃가루의 생산이 많고, 과실의 품질도 우량해야 한다.

 

3) 단위결과 유도

①씨 없는 과실은 상품 가치를 높일 수 있어 포도, 수박 등의 경우 단위결과를 유도함으로써 씨 없는 과실을 생산하고 있다.

②씨 없는 수박은 3배 체나 상호전좌를 이용하고 씨 없는 포도는 지베렐린 처리로 단위결과를 유도한다.

토마토, 가지 등과 착과제 처리로 씨 없는 과실을 생산할 수 있다.

4) 낙과

①낙과의 종류

㉠기계적 낙과

낙과의 원인이 태풍, 강풍, 병충해 등에 의해 발생하는 낙과이다.

㉡생리적 낙과

생리적 원인에 의해 이층이 발달하여 발생하는 낙과이다.

㉢시기에 따라 조기낙과 (6월 낙과), 후기낙과(수확 전 낙과)로 구분한다.

②생리적 낙과의 원인

수정이 이루어지지 않아 발생한다.

㉡수정이 된 것이라도 발육 중 불량환경, 수분 및 비료분의 부족, 수광태세 불량으로 인한 영양부족은 낙과를 조장한다.

㉢유과기 저온에 의한 동해로 낙과가 발생한다.

③낙과 방지

㉠수분 매조

㉡동해 예방

㉢합리적 시비

㉣건조 및 과습의 방지

㉤수광태세 향상

㉥방풍 시설

㉦병해충 방제

㉧생장조절제 살포 : 옥신 등의 생장조절제의 살포는 이층 형성을 억제하여 낙과 예방의 효과가 크다.

④해거리(격년결과) 방지

전정과 조기적과를 실시한다.

시비 및 토양관리를 적절하게 한다.

건조의 방지 및 병충해를 예방한다.

5) 복대(봉지 씌우기)

사과, 배, 복숭아 등의 과수재배에 있어 적과 후 과실에 봉지를 씌우는 것을 복대라 한다.

복대의 장점

㉠검은 무늬 병, 심식 나방, 흡즙 성자 방, 탄저병 등의 병충해가 방제된다.

외관이 좋아진다.

사과 등에서는 열과가 방지된다.

농약이 직접 과실에 부착되지 않아 상품성이 좋아진다.

③복대의 단점

㉠수확기까지 복대를 하는 경우 과실의 착색이 불량해질 수 있어 수확 전 적당한 시기에 제대해야 한다.

㉡복대에 노력이 많이 들어 근래 복대 대신 농약의 살포를 합리적으로 하여 병충해에 적극적 방제하는 무대재배를 하는 경우가 많다.

㉢가공용 과실의 경우 비타민C 함량이 낮아지므로 무대재배를 하는 것이 좋다.

6) 성숙의 촉진

①산물의 조기출하는 상품 가치를 높이므로 작물의 성숙을 촉진하는 재배법이 실시된다.

②과수, 채소 등의 촉성재배나 에스렐, 지베렐린 등의 생장조절제를 이용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7) 성숙의 지연

①작물의 숙기를 지연시켜 출하시기를 조절할 수 있다.

②포도 델라웨어 품종의 경우 아미토신 처리로 캠벨얼리의 경우는 에세폰 처리로 숙기를 지연시킬 수 있다.

728x9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