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해평가사 농학개론 중 재배학및 원예작물학 #39
손해평가사
농학개론 중 재배학 및 원예작물학 제39강
(7) 재해의 방제
1) 작물 재해의 종류
①수분 장해
㉮한해 : 수분 부족이 발생하는 작물의 피해
㉯습해: 토양의 과습 상태가 지속되어 뿌리의 산소부족으로 발생하는 장해
㉰수해
㉠수해: 작물이 장시간 물에 잠기면서 발생하는 피해
㉡침수: 작물이 완전히 물속에 잠기지는 않았으나 정상수보다 많을 때
㉢관수: 작물이 완전히 물속에 잠기는 침수
②온도장해
㉮냉해
㉠냉해: 생육적온보다 낮은 온도에서 작물에 발생하는 피해
㉡상해: 서리로 인해 작물에 발생하는 피해
㉢한해: 월동 중 추위로 인해 작물에 발생하는 피해
㉣동해: 작물 조직 내 결빙으로 발생하는 피해
㉯열해: 온도가 생육적온보다 높아서 작물에 발생하는 피해
③광스트레스
㉮솔라리제이션
㉠의의: 그늘에서 자란 작물이 강광에 노출되어 잎이 타 죽는 현상
㉡원인: 엽록소의 광산화
㉢강광에 적응하게 되면 식물은 카로티노이드가 산화하면서 산화된 엽록체를 환원시켜 기능을 회복할 수 있다.
㉯백화묘
㉠봄에 병의 육모 시 발아 후 약광에서 녹화시키지 않고 바로 직사광선에 노출시키면 엽록소가 파괴되어 발생하는 장해
㉡약광에서 서서히 녹화시키거나 강광에서도 온도가 높으면 카로티노이드가 엽록소를 보호하여 피해를 받지 않는다.
㉢엽록소가 일단 형성되면 높은 온도보다 낮은 온도에 더 안정된다.
④풍해: 주로 바람에 의한 도복 피해가 발생한다.
2)도복
①의의
㉠화곡류, 두류 등이 등숙기에 들어 비바람에 의해서 쓰러지는 것
㉡도복은 질소의 다비증수재배의 경우에 심하다.
㉢도복에 가장 약한 시기는 키가 크고 대가 약하며 상부가 무겁게 된 때이다.
②도복의 유발 조건
㉮유전(품종) 적 조건 : 키가 작고 대가 튼튼한 품종일수록 도복에 강하다.
㉯재배조건
㉠대를 약하게 하는 재배조건은 도복을 조장한다.
㉡밀식, 질소다용, 칼리 부족, 규산 부족 등은 도복을 유발한다.
㉢질소 내비성 품종은 내 도복성이 강하다.
㉰병충해
㉱환경조건
㉠도복의 위험기 태풍으로 인한 강우 및 강한 바람은 도복을 유발한다.
㉡맥류 등숙기 한 발은 뿌리가 고사하여 그 뒤의 풍우에 의한 도복을 조장한다.
③도복의 피해
㉠수량감소
㉡품질 저하
㉢수확 작업의 불편
㉣간작물에 대한 피해
④도복 대책
㉮품종의 선택 : 키가 작고 대가 튼튼한 품종의 선택은 도복방지에 가장 효과적이다.
㉯시비: 질소 편중 시비를 피하고 칼리, 인산, 규산, 석회 등을 충분히 시용한다.
㉰파종, 이식 및 재식밀도
㉠재식밀도가 과도하면 도복이 유발될 우려가 크기 때문에 재식밀도를 적절하게 조절해야 한다.
㉡맥류는 복토를 다소 깊게 하면 도복이 경감된다.
㉱관리: 벼의 마지막 김매기 때 배토와 맥류의 답압, 토입, 진압 및 결속 등은 도복을 경감시키는 데 효과적이다.
㉲병충해 방제
㉳생장조절제의 이용: 벼에서 유효분얼종지기에 2.4-D , PCP 등의 생장 조절제 처리는 도복을 경감시킨다.
㉴도복 후의 대책 : 도복 후 지주를 세우거나 결속은 지면, 수면에 접촉을 줄여 변질, 부패가 경감된다.
3) 수발아
①의의
㉠성숙기에 가까운 맥류가 장기간 비를 맞아서 젖은 상태로 있거나, 우기에 도복 해서 이삭이 젖은 땅에 오래 접촉해 있게 되었을 때 수확 전의 이삭에서 싹이 트는 것
㉡수발아는 성숙기에 비가 오는 날이 계속되면 종자가 수분을 흡수한 상태로 낮은 온도에 오래 처하게 되면서 휴면이 일찍 타파되어 발아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②수발아 대책
㉠품종의 선택
㉡조기 수확
㉢도복의 방지
㉣발아억제제의 살포
4) 병충해 방제
①경종적 방제법: 재배적 방법으로 병충해를 방제하는 방법
㉠토지의 선정 : 씨감자의 고랭지 재배는 바이러스 발생이 적어 채종지로 알맞으며 통풍이 좋지 않고 오수가 침입하는 못자리는 충해가 많다.
㉡저항성 품종의 선택
㉢무병종묘의 선택
㉣윤작
㉤재배양식의 변경
㉥혼식
㉦생육시기의 조절
㉧시비법 개선
㉨포장의 정결한 관리
㉩중간기주식물의 제거: 배의 적성병은 중간기주식물인 향나무를 제거함으로써 방제할 수 있다.
②생물학적 방제법 : 해충을 포식하거나 기생하는 곤충, 미생물 등 천적을 이용하여 방제하는 방법
③물리적 방제법
㉠포살 및 채란
㉡소각
㉢담수
㉣차단
㉤유살
㉥온도처리
④화학적 방제법: 농약을 이용하여 병충해를 방제하는 방법
(살균제, 살충제, 유인제, 기피제, 화학불임제)
⑤법적 방제법; 식물방역법을 통해 식물검역으로 위험 병균, 해충의 국내 침입과 전파를 방지하여 병충해를 방제하는 방법
⑥종합적 방제법: (IPC)
㉠여러 가지 방제법을 유기적으로 조화를 유지하며 사용하는 방법
㉡병해충의 밀도를 경제적 피해 밀도 이하로만 두며 전멸시킬 필요가 없다고 보며 천적과 유용 생물의 보존, 환경보호라는 목적의 달성을 위한 개념이다.
(8) 생력재배
1) 의의
농업에 있어 노동이 차지하는 비율이 과반이 넘을 정도로 비중이 높은데 이러한 노동을 절약하기 위한 재배를 생력재배라 한다.
2) 생력재배의 효과
①농업 노력비의 절감으로 생산비를 줄일 수 있다.
②단위 면적당 수량을 증대시킨다.
③농업 경영구조를 개선할 수 있다.
3) 작물 재배의 생력화를 위한 제반 조건
①생력화가 가능하도록 농지 정리가 되어야 한다.
②기계화 및 제초제를 이용한 제초를 위하여 넓은 면적의 공동관리에 의한 집단재배가 기계의 효율상 합리적이다.
③제초제를 사용한 제초의 생력화를 도모해 기계화 재배를 가능하게 해야 한다.
④기계화에 알맞고 제초제 피해가 적은 품종을 선택하고 인력 재배 방법을 개선하는 등 재배체계를 확립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