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해평가사 농학개론 중 재배학및 원예작물학 #44
손해평가사
농학개론 중 재배학 및 원예작물학 제44강
제4 절 원예작물의 생육조절
1. 정지, 전정
(1) 의의
1) 정지 : 나무의 골격이 되는 부분을 계획적으로 구성, 유지시키는 것
2) 정전: 나무의 잔가지를 자르거나 솎아 주는 것
(2) 정지, 전정의 목적
①수관 내부의 광과 통풍의 불량 방지
②약제 살포를 용이
③과실의 품질의 저하와 병충해 발생 방지
④과실의 품질 감소의 방지
⑤화아분화의 용이
⑥해거리방지(격년결과)
⑦노화현상 속도의 지연
(3) 전정의 효과
①목적하는 수형을 만든다.
②해거리(격년결과)를 방지한다.
③수광과 통풍을 좋게 한다.
④ 튼튼한 새 가지로 만들어 결과를 좋게 하고 결과 부위의 상승을 막아 관리를 편리하게 한다.
⑤병해충의 피해부나 잠부처를 제거한다.
2. 기타 생육조절 방법
(1) 적심
1) 의의: 작물의 줄기나 가지의 선단 부분을 제거해 곁눈의 생장을 촉진하는 방법
2) 장점
①개화 결실을 촉진하고 측지를 많이 발생시킨다.
② 병든 부위를 제거하고 남은 부위의 성장을 왕성하게 한다.
③정아를 제거하면 정아우세가 없어져 측아 발생 및 신장을 촉진하기도 한다.
(2) 적아
겨울을 지난 작물에게 새잎이나 새 줄기가 나오려 할 때 필요하지 않은 눈을 따 주는 것을 말한다.
(3) 적엽
잎이 무성하여 통풍이나 통기가 나빠진 때 일부의 잎을 제거해 주는 것을 말한다.
(4) 절상
새눈이나 새 가지 위에 칼집을 내어 눈이나 가지의 발육을 조장하는 것이다.
(5) 유인
지주를 세워서 덩굴을 유인하는 것을 말한다.
(6) 적화
꽃이 너무 많을 때 꽃을 솎아 제거해 주는 것을 말한다.
(7) 적과
착과수가 많을 때, 어릴 때 과수를 솎아주는 것을 말한다.
3. 착과와 과실의 발육
(1) 착과와 착과제
1) 착과: 과실의 발육이 시작되는 것
2) 착과제: 수분 및 수정이 불확실할 때 단위결과를 유기시키기 위해 착과제 처리를 하는데 토마토 재배 시 토마토톤이라는 착과제 처리가 이용되고 있다.
(2) 단위결과
1) 수분이나 수정이 되지 않아 종자가 형성되지 않았는데도 자방이 발육하여 과실을 형성하는 현상
2) 포도나 수박 등에서는 단위결과를 유도하여 씨 없는 과실을 생산하고 있는데 포도에서는 지베렐린 처리, 수박에서는 콜히친 처리를 하여 3 배체를 만들어 씨 없는 과실을 생산한다.
4. 봉지 씌우기
(1) 목적
①병충해 방제
②과실의 착색 및 과실의 상품 가치 증진
③열과 방지
④ 숙기 조절
5. 과수의 결과 습성
(1) 의의
1) 과수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기간에 열매를 맺는 습성
2) 결과습성
①1년생 가지에 결실하는 과수 :포도, 감, 감귤, 무화과
②2년생 가지에 결실하는 과수 :복숭아, 자두, 매실
③3년생 가지에 결실하는 과수: 사과, 배
(2) 결과모지, 열매가지
열매가지가 나오게 하는 가지를 결과모지, 열매를 맺는 가지를 열매가지라 하며 포도와 같이 당년생 과수에서 결실하는 과수는 열매가지가 나오게 하는 결과모지를 열매가지라 한다.
6. 낙과와 수분 매조
(1) 낙과를 방지하는 방법
①인공 수분이나 곤충의 방사 등을 통해서 수분 매조를 유도한다.
②관개, 멀칭 등을 통해서 건조 및 과습을 방지한다.
③정지, 전정 등을 통해서 수광태세를 향상시킨다.
④ NAA, 2,4-D 등의 생장조절제를 살포한다.
(2) 수분 매조
수분과 수정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매개곤충을 유입하거나 인공수분 실시를 통해서 수분이 잘 돼서 착과와 과실의 비대가 양호하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