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해평가사 농학개론 중 재배학및 원예작물학 #45
손해평가사
농학개론 중 재배학 및 원예작물학 제45강
제6 장 시설재배
제1 절 시설재배의 개념
1. 의의
작물의 재배환경을 생육에 알맞게 인위적으로 조절하는 모든 재배양식으로 유리 혹은 플라스틱 필름이나 온실, 식물공장 내에서 재배하는 것이다.
2. 시설재배의 필요성
(1) 원예작물은 계절에 관계없이 일 년 내내 요구되므로 주년적 공급체계는 시설재배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2) 시설원예는 노지원예와 달리 제철이 아닌 때의 생산이므로 비싼 값으로 출하되어 노지원예에 비하여 수익성이 높다.
3. 우리나라의 시설원예
①대부분 플라스틱하우스며 최근 유리온실이 증가하고 있다.
②전체 시설 면적은 채소가 84%, 과수 10%, 화훼 5%로 구성되어 있으며 선진국과 비교하면 채소 비중이 높은 편이다.
③채소의 시설재배
㉠재배면적: 과채류 〉 엽채류 〉 근채류
㉡재배면적은 수박이 가장 크며 다음 참외, 딸기, 봄무, 상추 순이며 풋고추, 오이, 봄배추, 호박 등도 많이 재배하고 있다.
4. 시설의 종류와 특성
시설의 종류는 시설자재에 따라 유리온실, 플라스틱하우스 등이 있고 시설의 모양에 따라 여러 가지로 구분된다.
(1) 유리온실
①외지붕형 온실
㉠한쪽 지붕만 있는 시설로 동서방향의 수광 각도가 거의 수직이다.
㉡북쪽 벽 반사열로 온도 상승에 유리하고 겨울에 채광, 보온이 잘 된다.
㉢가정에서 소규모의 취미원예에 이용하는 경우이다.
②3/4지붕형 온실
㉠남쪽 지붕 길이가 지붕 전 길이의 3/4을 차지하여 겨울철에 채광, 보온성이 우수하다.
㉡고온성 원예작물인 멜론 재배에 적합하다.
③양쪽 지붕형 온실
㉠길이가 같은 양쪽 지붕으로 남북방향의 광선입사가 균일하다.
㉡통풍이 양호하고 가장 보편적인 형태이다.
㉢재배 관리가 편리하기 때문하기 때문에 토마토, 오이 등의 열매채소와 카네이션, 국화 등의 화훼류 재배에 이용되고 있다.
④연동형 온실
㉠남북방향이 유리하며 시설비가 저렴하고 높은 토지이용률을 나타낸다.
㉡바람의 영향을 많이 받게 되고 열 손실도 많아 비경제적이다.
⑤벤로형 온실
㉠처마가 높고 폭 좁은 양지붕형 온실을 연결한 것으로 연동형 온실의 결점을 보완한 것이다.
㉡토마토, 오이, 피망 등의 키가 큰 호온성 열매채소류를 재배하는 데 적합하다.
⑥ 둥근 지붕 형 온실
곡면유리를 사용하여 지붕의 곡면이 크고 밝으므로 식물 전시용 또는 대형식물, 열대성 관상식물 재배에 적합하다.
(2) 플라스틱 하우스
①터널형 하우스
㉠보온성이 크고, 내풍성이 강하며, 광 입사량이 고르다.
㉡단점으로 환기 능률이 떨어지고 많은 눈에 잘 견디지 못한다.
②지붕형 하우스
㉠바람이 세거나 적설량이 많은 지대에 적합한 형태이다.
㉡천정과 측창의 구조, 설치와 창의 개폐가 간단하다.
③아치형 하우스
㉠지붕이 곡면이며 자재비가 적게 들고 간단하게 지울 수 있다.
㉡이동이 용이하고 내풍성이 강하며 광선이 고르게 투과된다.
㉢적설에 약하고 환기 능률이 나쁘다.
5. 시설자재
(1) 골격 자재
①목재
㉠초기에 많이 이용되었어나 요즘은 철재, 경합금 재가 많이 이용된다.
㉡골격률이 크고 투광률과 내구성이 낮다.
②경합금재
㉠알루미늄을 주성분으로 하는 여러 종류의 합금재이다.
㉡장점: 가볍고 내부식성이 강하며 광 투과율이 좋다.
㉢단점: 강재에 비해 강도가 낮고 가격이 비싸다.
③강재
④강도와 내구성이 높아 하중이 큰 대형 온실이 적합하다.
⑤강재의 종류
㉠경량형 강재
ⓐ유리온실 및 플라스틱 온실에 쓰인다.
ⓑ두께 3.2mm 이하
㉡압연강재
ⓐ대형 유리온실 등에 쓰인다.
ⓑ강도가 높다.
ⓒ강한 힘의 작용을 받는 굴곡 부분이 두껍다.
㉢구조 강관
ⓐ단동 및 연동하우스의 골격재로 많이 사용된다.
ⓑ두께 1.2mm, 바깥지름 22mm 파이가 많이 사용된다.
ⓒ아연도금으로 내구연한이 길다.
(2)피복자재
①피복자재: 고정시설을 피복하여 계속 사용하는 유리나 플라스틱 필름 등의 기초 피복재와 보온, 차광 등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부직포, 거적 등의 추가 피복재가 있다.
②기초 피복
㉠유리온실, 플라스틱 등 고정시설의 피복과 소형터널 등 간이구조 및 멀칭 등 지면을 피복하며 상태의 변화 없이 계속 사용하는 피복
㉡플라스틱필름, 유리
③추가 피복
㉠기초 피복 위에 보온, 차광 및 반사 등 목적의 피복
㉡커튼, 외면 피복 등
㉢부직포, 매트, 거적 등
④피복 자재의 조건
㉠투광률은 높고 열선 투과율은 낮아야 한다.
㉡보온성이 커야 한다.
㉢열전도율이 낮아야 한다.
㉣내구성이 커야 한다.
㉤수축과 팽창이 작아야 한다.
㉥충격에 강해야 한다.
㉦가격이 저렴해야 한다.
⑤유리
㉠장점: 투과성, 내구성, 보온성이 우수하다.
㉡단점: 시설비가 많이 들고 연질필름에 비해 기밀도가 떨어진다.
㉢종류
ⓐ판유리: 투명 유리를 이용하며 일반적으로 두께 3mm를 이용하며 벤로형 온실 또는 안전도가 커야 하는 곳은 4mm 유리를 이용한다.
ⓑ형판유리 : 표면이 요철 모양으로 처리되어 있고 투과광의 일부가 산란되어 시설 내 광분포가 고르다.
ⓒ열선 흡수 유리 : 가시광선의 투과성이 높고 열선 투과율은 낮다.
⑥플라스틱 피복자재
㉠연질필름
ⓐ두께 0.05~ 0.2mm
ⓑ종류: PE(폴리에틸렌필름), PVC(염화비닐 필름), EVA(에필렌아세트산 비닐 필름)
㉡경질 필름
ⓐ두께 : 0.10 ~ 0.20mm
ⓑ종류: 경질 염화비닐 필름, 경질 폴리에스테르 필름
㉢경질판
ⓐ두께 : 0.2mm
ⓑ종류: FRA 판, FRP 판, MMA 판, 복층판
㉣반사필름: 시설의 보광 또는 반사광 이용에 이용
⑦기타 피복자재
㉠부직포 : 커튼 또는 차광 피복재로 사용
㉡매트: 소형터널 보온피복에 많이 사용하며 단열성은 좋으나 광선투과율 및 유연성이 나쁘다.
㉢한랭사: 시설의 차광 피복재 및 서리 방지 피복재를 사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