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해평가사 농학개론 중 재배학및 원예작물학 #46
손해평가사
농학개론 중 재배학 및 원예작물학 제46강
6. 노지와 시설 내 환경의 차이
(1) 온도
①일교차가 크다.
②위치별 분포가 다르다.
③지온이 높다.
(2) 광
①광질이 다르다.
②광량 감소
③광분포 불균일
(3) 수분
①토양이 건조해지기 쉽다.
②공중습도가 높다.
③인공 관수를 한다.
(4) 토양
①염류 농도가 높다.
②토양 물리성이 나쁘다.
③연작 장해가 있다.
(5) 공기
①탄산가스가 부족하다.
②유해 가스의 집적이 크다.
③바람이 없다.
7. 시설 내 병해충
(1) 많이 발생하는 병해
역병, 균핵병, 잿빛곰팡이 병, 흰 가루병, 노균병, 검은 별무늬 병, 풋마름병, 배꼽썩음병이 많이 발생한다.
(2) 저온, 고온장해로 발생하는 병해
①저온 장해: 노균병, 균핵병, 잿볓곰팡이병
②고온 장해: 시들음병, 풋마름병, 탄저병, 덩굴쪼김병
제2 절 양액재배
1. 정의
①토양 대신에 생육에 요구되는 무기양분을 용해시킨 영양액으로 작물을 재배하는 것을 말한다.
② 복잡한 토양 환경을 양액으로 대체하여 지하부 근권 환경을 단순화시켰다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③작물의 생육환경을 보다 완벽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작업의 생력화와 자동화가 훨씬 쉬워졌다.
2. 장단점
(1) 장점
①품질과 수량성이 좋다.
②농약 사용량이 적다.
③청정 재배가 가능하다.
④자동화가 쉬워 노력을 크게 줄일 수 있다.
⑤장소에 관계없이 오염지, 바위섬, 사막 등에서도 재배가 가능하다.
⑥토양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연작이 가능하다.
(2) 단점
①양액의 완충능이 없다.
②초기 자본이 많이 필요하다.
③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이 필요하다.
④환경의 변화에 작물이 쉽게 대처하지 못하면 병해를 입으면 치명적인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
⑤재배 가능한 작물의 종류가 많지 않다.
⑥폐자재의 활용이 어렵다.
3. 청정재배와 NFT
① NFT는 순환식 수경 방식을 말한다.
②장점
㉠시설비가 저렴하다.
㉡설치가 간단하다.
㉢중량이 가벼워 널리 보급되어 있는 양액재배용 방식이다.
㉣산소부족이 없다.
4. 무토 재배의 종류
구분
|
재배방식
|
|
기상배지경
|
분무경(공기경), 분무수경(수기경)
|
|
액상배지경
|
※ 담액수경: 연속 통기식, 액면 저하식, 등량 교환식, 저면담배수식
※ 박막 수경: 환류식
|
|
고형배지경
|
※ 천연배지경: 자갈, 모래, 왕겨, 톱밥, 코코넛 섬유, 수피, 피트모스
※ 가공배지경: 훈탄, 암면, 펄라이트, 버미큘라이트, 발포점토, 폴리우레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