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해평가사 1차 74강(실전핵심문제#28)
손해평가사 1차
농학개론 재배학 및 원예작물학 74강(실전핵심문제#28)
문제 91번
문제 91번 정답 해설
②
※ 밀식재배를 하므로 광의 투과가 좋은 수형을 선택하여야 한다.
문제 92번
문제 92번 정답 해설
①
※ 배는 과실이 크고 열매 자루가 길어 풍해로 인한 낙과가 심하기 때문에 지역에 따라 여러 가지 다른 수형으로 재배되고 있다.
문제 93번
문제 93번 정답 해설
③
※ 복숭아나무는 내음성이 약해 수관 내부에 햇빛이 들어오지 않으면 밑의 가지가 말라죽으므로, 중심이 비어 있는 개심자연형으로 키우는 것이 좋다.
문제 94번
문제 94번 정답 해설
②
※ 정지와 전정의 원칙
1) 항상 나무의 자연성을 최대한 살려야 한다.
2) 간장은 가급적 낮게 한다.
3) 분지의 각도는 50~60˚로 넓게 조절한다.
4) 가지는 굵기의 차이를 두고 키운다.
문제 95번
문제 95번 정답 해설
④
※ 해 거리는 어떤 해에 개화. 결실량이 너무 많아 나무의 영양이 과다하게 소모되어 그다음 해의 결실이 불량해지는 것으로 개화. 결실량을 조절할 수 있다.
문제 96번

문제 96번 정답 해설
①
※ 일반적으로 유목의 약전정은 결실을 앞당기고, 노목은 강 전정하여 나무의 세력과 결실을 조절한다. 병. 해충의 피해를 입은 가지는 전정하여 그 자리를 다른 가지로 채워준다.
문제 97번

문제 97번 정답 해설
②
※ 해 거리를 한 다음 해는 화아분화가 많이 되므로 전정을 강하게 하여 결실을 조절한다.
문제 98번

문제 98번 정답 해설
④
※
1) 겨울전정: 나무의 모양이나 가지의 생장 및 열매 맺힘을 조절하기 위한 전정으로 휴면기전정이라고 하며 대부분의 전정이 이에 속한다. 보통 나경 후부터 수액이 이동하기 전인 이른 봄까지 실시하며, 혹한기 이전에 전정하면 포도 등은 동해를 받을 우려가 있다.
2) 여름전정: 잎이 달려있는 동안 전정하는 것으로 눈 따기, 순집기, 환상박피 등이 있다.
문제 99번

문제 99번 정답 해설
④
※ 자름 전정
자라난 가지의 중간을 자르는 것으로 튼튼한 새 가지를 발생시키거나 결과 부위의 전진을 막으려 할 때 실시한다. 배, 포도, 복숭아의 겨울전정에 많이 이용한다.
문제 100번

문제 100번 정답 해설
①
※ 솎음 전정
가지의 기부를 잘라 솎아내는 것으로 가지가 밀생하거나 다른 가지와 경쟁이 되어 생장에 방해가 될 때 실시한다. 사과, 감, 밤, 호두 등은 보통 솎음전정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