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해평가사 1차 98강(8회기출문제#59)
손해평가사 1차
농학개론 재배학 및 원예작물학 98강 (8회기출문제#59)
문제 67번

문제 67번 정답 해설
④
※ 무름 병: Erwinia 속 세균에 의해 잎, 줄기, 열매, 뿌리 등의 조직이 연화, 부패하여 쓰러지는 식물의 병
문제 68번

문제 68번 정답 해설
②
※ 작물의 일장형
1) 장일식물(단야식물)
①보통 16~18시간의 장일상태에서 화성이 유도, 촉진되는 식물로, 단일 상태는 개화를 저해한다.
②최적 일장 및 유도일장 주체는 장일 측에, 한계일장은 단일 측에 있다.
③맥류, 시금치, 양파, 상추, 아마, 아주까리, 감자, 티머시, 양귀비, 피튜니아, 스톡, 금잔화, 과꽃, 데이지, 아이리스 등
2) 단일 식물(장야 식물)
①보통 8~10시간의 단일 상태에서 화성이 유도, 촉진되며 장일 상태는 이를 저해하며, 암기가 일정 시간 지속되어야 한다.
②최적 일장 및 유도일장의 주체는 단일 측, 한계일장은 장일 측에 있다.
③벼, 국화, 콩, 담배, 들깨, 참깨, 목화, 조, 기장, 피, 옥수수, 나팔꽃, 샐비어, 코스모스, 도꼬마리, 백일홍, 포인세티아 등
3) 중성식물(중일성식물)
①일정한 한계일장이 없이 넓은 범위의 일장에서 개화하는 식물로 화성이 일장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할 수도 있다.
②강낭콩, 가지, 고추, 토마토, 당근, 셀러리, 시클라멘, 장미 등
문제 69번

문제 69번 정답 해설
③
※오이의 성표현
①저온과 단일 조건에서 암꽃의 착생 마디를 낮추고 암꽃 수가 증가한다.
②저온과 단일에 대한 감은 자엽 때부터 가능하나 본엽이 1~4매 전개되었을 때 화아분화하고 성이 결정된다.
③저온과 단일 조건에서는 옥신과 에틸렌의 생성이 증가하여 암꽃이 증가한다.
④2.4-D , NAA, 에세폰의 처리는 암꽃이 증가한다.
⑤GA, 질산은을 처리하면 수꽃이 증가한다.
문제 70번

문제 70번 정답 해설
①
※ 국화과 식물인 제충국에서 추출한 피레드린을 이용하는 것은 천연물질의 이용으로 생물적 방제법으로 오인하기 쉬우나 피레드린이라는 화학성분의 살충제를 이용하는 것이므로 화학적 방제법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제충국제
①국화과 식물로 일명 여름국화이다.
②가정용 모기약으로도 사용된다.
③유효 성분: 피레드린
④살충 기작: 신경독
⑤살충제로 피레트린Ⅱ가 가장 살충 성분이 강하다.
⑥가정용 파리약, 모기약은 피레트린Ⅰ을 사용한다. → 포유동물에 독성이 낮다.
⑦피레트린의 효력 증진제: piperonyl butoxide
문제 71번

문제 71번 정답 해설
②
※ 사과 탄저병
①발생
㉠엔도티아드 등의 균의 기생으로 발병한다.
㉡가지 상처 부위나 과실이 달렸던 곳, 잎이 떨어진 부위에 침입하여 균사 형태로 월동한다.
㉢비가 올 때 빗물에 의해 비산 되어 1차 점염이 이루어지고 과실에 침입 후 발병한다.
② 피해 증상
㉠과실 표면에 갈색의 작은 반점 형성
㉡약 30mm까지 확대되면서 병반 중앙부가 움푹해지며, 병든 부위를 잘라보면 과심방향으로 과육이 부패된다.
㉢병반 표면에 검은색 작은 점들이 발생하며, 습도가 높은 경우 이 점들 위에 담홍색 포지 덩이가 쌓인다.
문제 72번

문제 72번 정답 해설
③
※ 꽃가루관의 신장은 고온 조건에서 빨라지므로 착과율이 높아진다.
문제 73번

문제 73번 정답 해설
④
※ 처리 시기에 따른 구분
① 종자춘화형식물
㉠최아종자에 처리하는 것
㉡추파 맥류, 완두, 잠두, 봄무, 양파 등
㉢추파 맥류 최아종자를 저온처리하면 춘파 하여도 좌지 현상이 방지되어 정상적으로 출수한다.
②녹체 춘화형식물
㉠식물이 일정한 크기에 달한 녹체기에 처리하는 작물
㉡양배추, 사리풀 등
문제 74번

문제 74번 정답 해설
④
※ 기능성 필름
①의의
㉠기존 연질필름에 특별한 기능을 부여한 것
㉡무적필름, 방무 필름, 광파장변환필름, 자외선 차단필름, 내후성 강화필름, 광차단필름, 적외선흡수 필름, 해충 기피 필름, 반사필름, 산광 필름 등이 있다.
②종류
㉠무적필름
ⓐ유리는 친수성으로 표면에 물방울이 맺히지 않고 깨끗한 유리 표면에 수증기가 응결되면 수막을 형성하거나 흘러내리지만 플라스틱 필름은 소수성으로 수증기가 응결되면 그대로 붙어 있게 되고 커지면서 물방울이 되어 바닥에 떨어지게 된다.
ⓑ결로가 형성되면 광 투과율이 낮아지고 바닥이나 작물체에 떨어지면 병해 발생의 원인이 되기도 하여 무적필름의 사용이 권장되고 있다.
ⓒ무적필름은 계면활성제를 무적 제로 사용하여 소수성 필름을 친수성 필름으로 변환시킨 것이다.
ⓓ계면활성제를 폴리에틸렌 수지에 일정량 배합하여 만들면 필름 표면에 미세한 구멍 사이로 서서히 스며 나와 피막을 형성하여 무적성을 띠게 되므로 시간이 지나면 계면활성제가 씻겨 내려가 무적성이 없어진다.
㉡광파장변환필름: 피복자재에 형광물질을 혼입 시켜 식물 생육이 낮은 파장을 광합성 효율이 높은 파장으로 변환시킨 필름
㉢내후성 강화필름
ⓐ일반 연질필름은 1년 정도 내구성을 가지나 방진 처리를 한 필름은 2~3년 사용할 수 있고, 최근 장기 사용 필름으로 이용되는 폴리올레핀계 필름은 3~5년 정도 내후성을 가진다.
ⓑ불소계 수지를 사용한 불소필름은 내후성이 뛰어나 10~15년 사용할 수 있고, 투광성과 방진성이 우수하다.
㉣해충 기피 필름
ⓐ광 파장을 변환시킨 자재와 해충기피제를 첨가한 필름 등이 있다.
ⓑ근자외선을 흡수하거나 반사하는 자재는 광변환 필름으로 응애, 진드기, 바퀴벌레 등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해충기피제로 살충제를 첨가하거나 코팅하여 해충을 기피하는 필름으로 주로 피레드로이드계 약제가 이용되고 있다.
문제 75번

문제 75번 정답 해설
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