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해평가사농학개론재배학및원예작물학

손해평가사 농학개론재배학 및 원예작물학 #2

sinye336 2025. 4. 9. 11:00
728x90
SMALL
손해평가사 농학 개론 재배학 및 원예작물학
제2강

 

제2 절 작물의 분류

1. 작물의 종류

(1) 종류

1) 재배작물의 수

세계적으로 재배되고 있는 작물의 종류는 약 2,000여 종으로 알려져 있다.

2) 식량작물의 종류와 수

①화곡류 : 54종

②두류 : 52종

③기타 곡류 : 13종

④서류 : 42종

⑤기타 : 8종

⑥계 : 169종

3) 재배식물 중 경제작물은 약 80여 종이며 인류 곡물 소비의 75%는 3대 작물인 벼, 밀, 옥수수가 차지하고 있다

2. 작물의 분류

(1) 식물학적 분류

1) 식물의 분류 체계

①식물 기관의 형태 또는 구조의 유사점에 기초를 둔다.

②분류 군의 계급은 최상위 계급인 계에서 시작하여 최하위 계급인 종으로 분류 구분한다.

계 → 문 → 강 → 목 → 과 → 속 → 종

2) 학명

①속명과 종명 두 개의 단어로 하나의 종을 나타내고 여기에 명명자의 이름을 붙인다.

속명: 라틴어 명사로 첫 글자는 반드시 대문자로 표기

종명: 특수한 고유명사 등을 제외하고는 원칙적으로 소문자의 라틴어를 사용

④종 이하는 아종, 변종, 품종으로 표시

(2) 용도에 따른 분류

1) 식용작물

①각숙류

㉮화곡류

쌀: 수도, 육도

㉡맥류: 보리, 밀, 귀리, 호밀 등

㉢잡곡: 조, 옥수수, 수수, 기장, 피, 메밀, 율무 등

㉯두류: 콩, 팥, 녹두, 강낭콩, 완두, 땅콩 등

서류 : 감자, 고구마

2) 공예작물(=특용작물)

①유료작물 : 참깨, 들깨, 아주까리, 유채, 해바라기, 콩, 땅콩 등

②섬유작물: 목화, 삼, 모시풀, 아마, 왕골, 수세미, 닥나무 등

③전분작물: 옥수수, 감자, 고구마 등

④당료작물: 사탕수수, 사탕무, 단수수, 스테비아 등

⑤약용작물: 제충국, 인삼, 박하, 홉 등

⑥기호작물: 차, 담배 등

3) 사료작물

①화본과 : 옥수수, 귀리, 티머시, 오처드그라스, 라이그라스 등

②도과 : 앨팰퍼, 화이트클로버, 자운영 등

③기타: 순무, 비트, 해바라기, 돼지감자 등

4) 녹비작물(=비료작물)

화본과 : 귀리, 호밀 등

②콩과(두과): 자운영, 베치 등

5) 원예작물

①과수

인과류: 배, 사과, 비파

핵과류 : 복숭아, 자두, 살구, 앵두 등

장과류 : 포도, 딸기, 무화과

㉣각과류(견과류):밤, 호두 등

준인과류: 감, 귤

※진과: 자방만 발육 ( 준인과류 , 핵과류)

※위과: 자방, 자방 외 발육( 인과류, 딸기 포함)

②채소

과채류 :오이, 호박, 참외, 수박, 토마토, 가지, 딸기 등

협채류: 완두, 강낭콩, 동부 등

근채류

ⓐ직근류: 무, 당근, 우엉, 토란, 연근 등

ⓑ괴근(경) 류: 고구마, 감자, 토란, 마, 생강 등

경엽채류: 배추, 양배추, 갓, 상추, 셀러리, 미나리, 아스파라거스, 양파, 마늘 등

※화채류(꽃채소) - 브로콜리

③화훼류 및 관상식물

초본류: 국화, 코스모스, 난초, 달리아 등

목본류: 동백, 고무나무, 철쭉 등

(3) 생태적인 분류

1) 생존 연한에 의한 분류

①일 년생 작물

㉠봄에 파종하여 당해 연도에 성숙, 고사하는 작물

㉡벼, 대두, 옥수수, 수수, 조 등

②월년생 작물 (추파 1년 초)

㉠봄에 파종하여 다음 해 성숙 고사하는 작물

㉡가을밀, 가을보리 등

③2년생 작물

㉠봄에 파종하여 다음 해 성숙 고사하는 작물

㉡무, 사탕무, 당근 등

④다년생 작물

㉠대부분 목본류와 같이 생존연한이 긴 작물

㉡아스파라거스, 목초류, 홉 등

2) 생육 계절에 의한 분류

①하작물(춘파)

㉠봄에 파종하여 여름철에 생육하는 일 년생 작물

㉡대두, 옥수수 등

②동작물(추파)

㉠가을에 파종하여 가을, 겨울, 봄을 중심 해서 생육하는 월년생작물

㉡가을보리, 가을밀 등

3) 온도반응에 의한 분류

①저온 작물

㉠비교적 저온에서 생육이 잘 되는 작물

㉡맥류, 감자 등

②고온 작물

㉠고온조건에서 생육이 잘 되는 작물

㉡벼, 콩, 옥수수, 수수 등

③열대작물

④한지형 목초(=북방형 목초)

㉠서늘한 기후에서 생육이 좋고, 추위에 강하며, 더위에 약해 여름철 고온에서 하고 현상을 나타내는 목초

㉡티머시, 앨팰퍼 등

⑤난지형 목초 (=남방형 목초)

㉠고온에서 생육이 좋고, 추위에 약하며, 더위에 강하다.

㉡버뮤다그래스, 매듭풀 등

4) 생육형에 의한 분류

①주형 작물

㉠식물체가 각각의 포기를 형성하는 작물

㉡벼, 맥류 등

②포복형 작물

㉠줄기가 땅을 기어서 지표를 덮은 작물 →특징: 도복 위험 낮다, 토양침식방지, 내 풍성 강함

㉡고구마, 호박 등

5) 저항성에 의한 분류

①내산성 작물

산성토양에 강한 작물

㉡벼, 감자, 호밀, 귀리, 아마, 땅콩 등

②내건성 작물

㉠한 발에 강한 작물

㉡수수, 조, 기장 등

③내습성 작물

토양 과습에 강한 작물

㉡밭벼, 골풀 등

④내염성 작물 (간척지)

염분이 많은 토양에서 강한 작물

㉡사탕무, 목화, 수수, 유채 등

⑤내풍성작물

㉠바람에 강한 작물

㉡고구마 등 포복성 작물

(4) 재배 및 이용에 의한 분류

1) 작부방식에 관련된 분류

①농작물과 밭작물

② 전 작물과 후작물 : 전후 작 또는 간작 시 먼저 심는 작물을 전작물, 뒤에 심는 작물을 후작물이라 한다.

③중경 작물

㉠작물의 생육 중 반드시 중경을 해 주어야 되는 작물로서 잡초가 많이 경감되는 특징이 있다.

㉡옥수수, 수수 등

④휴한 작물

㉠경지를 휴작하는 대신 재배하는 작물

㉡지력의 유지를 목적으로 작부체계를 세워 윤작하는 작물

㉢비트, 클로버, 앨팰퍼 등

⑤윤작 작물 : 중경작물 또는 휴한작물은 대부분 윤작체계에 도입되어 잡초방제나 지력유지에 좋은 작물로 선택될 수 있다.

⑥대파 작물: 재해로 주작물의 수확이 어려울 때 대신 파종하는 작물

⑦구황 작물

㉠기후의 불순으로 인한 흉년에도 비교적 안전한 수확을 얻을 수 있어 흉년에 크게 도움이 되는 작물

㉡조, 수수, 기장, 메밀, 고구마, 감자 등

⑧흡지 작물

㉠뿌리가 깊어 다른 작물이 흡수하지 못하는 비료분도 잘 흡수 간직하여 유실될 비료분을 잘 포착, 흡수, 이용 효과를 갖는 작물

㉡앨팰퍼, 스위트 클로버, 화본과 목초 등

2) 토양 보호와 관련하여 분류

①피복 작물 :주작물의 휴한기에 토양을 피복하여 토양을 보전하고 관리하는데 이용하는 작물

②토양 보호작물: 피복작물과 같이 토양침식 방지로 토양 보호의 효과가 큰 작물

③토양 조성 작물 : 콩과 목초 또는 녹비작물과 같이 토양 보호와 지력 증진의 효과를 가진 작물

3) 경영면과 관련된 분류

①동반 작물: 하나의 작물이 다른 작물에 어떤 이익을 주는 조합 식물

②자급작물: 농가에서 자급을 위하여 재배하는 작물로 벼, 보리 등이 있다.

③환금작물 :판매를 목적으로 재배하는 작물로 담배. 아마. 차 등이 해당된다.

④경제작물: 환금작물 중 특히 수익성이 높은 작물

4) 용도에 따른 사료작물의 분류

①청예작물(풋베기작물) : 사료작물을 풋베기 하여 주로 생초로 먹이는 작물이다.

②건초 작물

㉠풋베기 해서 건초용으로 많이 이용되는 작물

㉡티머시, 앨팰퍼 등

③사일 리리 작물

㉠좀 늦게 풋베기 하여 사일리지 제조에 많이 이용되는 작물

㉡옥수수, 수수, 풋베기콩 등

④종을 사료작물

㉠사료작물을 재배할 때 풋베기 하지 않고 성숙 후 수확해 종실을 사료로 이용하는 작물

㉡맥류나 옥수수 등

728x9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