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해평가사 농학개론 중 재배학및 원예작물학 #16
손해평가사 농학개론 중 재배학 및 원예작물학
제16강
4. 잡초와 방제
(1) 잡초와 피해
1) 잡초
①재배 포장 내에 발생하는 작물 이외의 식물
②광의의 잡초는 포장뿐만 아니라 포장 주변, 도로, 제방 등에서 발생하는 식물까지 포함한다.
③작물 사이에 자연적으로 발생하여 직. 간접으로 작물의 수량이나 품질을 저하시키는 식물을 잡초라 한다.
2) 피해
①양수분의 수탈
②광의 차단
③환경의 악화
④병충해의 번식 조장
⑤유해 물질의 분비: 유해 물질의 분비로 작물 생육을 억제하는 상호대립억제작용 (타감작용)이 있다.
⑥품질의 저하
⑦가축에의 피해
⑧미관의 손상
⑨수로 또는 저수지 등에 만연은 물의 관리 작업이 어렵다.
3) 잡초의 유용성
①지면 피복으로 토양침식 억제
②토양에 유기물의 제공원이 될 수 있다.
③구황 작물로 이용될 수 있는 것들이 많다.
④야생 동물, 조류 및 미생물의 먹이와 서식처로 이용되어 환경에 기여한다.
⑤유전 자원으로 이용
⑥과수원 등에서 초생재배식물로 이용될 수 있다.
⑦약용성분 및 기타 유용한 천연물질의 추출원
⑧가축의 사료로서 가치
⑨환경오염 지역에서 오염물질을 제거
⑩자연경관을 아름답게 하는 조경 재료
4) 잡초의 주요 특성
① 원하지 않는 장소에 발생한다.
②자연 야생 상태에서도 잘 번식한다.
③번식력이 왕성하며, 큰 집단을 형성한다.
④근절하기 힘들며, 작물, 동물, 인간에게 피해를 준다.
⑤이용 가치가 적다.
⑥미관을 손상시킨다.
(2) 잡초의 종류와 생태
1) 잡초의 종류
①생활사에 따라 1년생, 2년생, 및 다년생으로 구분한다.
㉠ 1년생 잡초 : 생활주기가 1년 이내인 잡초
㉡ 2년생 잡초: 생활주기가 1~2년 잡초
㉢ 다년생 잡초: 2년 이상 생존하며 종자로 번식하기도 하지만, 영양번식을 하는 경우가 많다.
② 우리나라의 주요 논 잡초
㉮ 1년생
㉠화본과: 강피, 물피, 돌피, 둑새풀
㉡방동 사니과:
㉢광엽잡초:
㉯다년생
㉠화본과: 나도겨풀
㉡방동 사니과:
㉢광엽잡초: 가래, 벗풀, 올미, 개구리밥, 미나리
③ 우리나라 주요 밭 잡초
㉮1년생
㉠화본과: 바랭이, 강아지풀, 돌피, 둑새풀(2년생)
㉡방동 사니과:
㉢광엽잡초:
㉯다년생
㉠화본과: 참새피, 띠
㉡방동 사니과:
㉢광엽잡초:
2) 잡초의 생태
①종자 생산량이 많고 소립으로 발아가 빠르고 초기의 생장속도가 빠르다.
②대개 C4 형 광합성으로 광합성 효율이 높고 생장이 빨라서 경합적 측면에서 많은 장점을 갖고 있다.
③불량환경에 적응력이 높고 한발 및 과습의 조건에서도 잘 견딘다.
(3) 잡초의 방제
1) 잡초의 예방
①윤작
②방목
③소각 및 소토
④경운
⑤퇴비를 잘 부숙 시켜 퇴비 중의 잡초 종자의 경감
⑥종자 선별
⑦피복 (멀칭 녹색, 흑색 )
⑧답전 윤환
⑨담수 및 써레질
2) 잡초의 방제
①물리적(기계적) 방제
㉠물리적 힘을 이용하여 잡초를 제거
㉡방법: 수취, 화염제초, 베기, 경운, 중경 등
②경종적(생태적) 방제
㉠잡초와 작물의 생리, 생태적 특성을 이용하여 잡초의 경합력을 저하시키고 작물의 경합력을 높이는 방법
㉡방법: 재배시기의 조절, 윤작, 시비의 조절 등
③생물학적 방제
㉠생태계 파괴 없이 보존할 수 있는 방법
㉡곤충, 소동물, 어패류 등을 이용하여 방제하는 방법
④화학적 방제
㉮장점
㉠사용폭이 넓고 효과가 커서 비교적 완전한 제초가 가능
㉡효과가 상당 기간 지속적이며, 경비의 절감
㉢사용이 간편하다.
㉯단점
㉠인축과 작물에 약해 가능성
㉡지식과 훈련 및 교육이 필요하다
⑤종합적 방제( IWM)
㉠잡초 방제를 위해 2종 이상의 방제법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
㉡불리한 환경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이 최소화되도록 유해생물의 군락을 유지시키는 데 목적이 있다.
㉢완전 제거가 아닌 경제적 손실이 없는 한도 내에서 가장 이상적인 방제를 요구하는 방법
3) 제초제
①제초제의 구비조건
㉠제초효과가 커야 한다.
㉡인축 및 공해 등에 대한 안전도가 높아야 한다.
㉢사용이 편리해야 한다.
㉣조건의 차이에 있어서 효과가 안전해야 한다.
㉤가격이 적절해야 한다.
㉥약해가 적어야 한다.
㉦처리에 있어 안전성이 있어야 한다.
㉧노력절감을 위해 다른 약제와 혼용이 가능해야 한다.
②제초제 사용상의 유의점
㉠선택과 사용 시기, 사용농도를 적절히 한다.
㉡파종 후 처리 시는 복토를 다소 깊고 균일하게 한다.
㉢인축에 유해한 것은 특히 취급에 주의한다.
㉣제초제의 연용에 의한 토양조건이나 잡초 군락의 변화에 유의해야 한다.
㉤농약, 비료 등과의 혼용을 고려해야 한다.
㉥제초제에 대한 저항성 품종의 육성이 고려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