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해평가사농학개론재배학및원예작물학

손해평가사 농학개론 중 재배학및 원예작물학 #17

sinye336 2025. 4. 17. 08:00
728x90
SMALL
 손해평가사 농학개론 중 재배학 및 원예작물학
제17강

 

제7절 생장 발육과 환경

1. 상적발육

(1) 생육의 개념

1) 생장

①여러 가지 잎, 줄기, 뿌리 같은 영양기관이 양적으로 증대하는 것

②영양 생장을 의미하며 시간의 경과에 따른 변화

2) 발육

①아생, 화성, 개화, 성숙 등과 같은 작물의 단계적 과정을 거치면서 체내 질적 재조정 작용

②생식 생장이며 질적변화

3) 상적발육

①작물이 순차적으로 여러 발육상을 거쳐 발육이 완성되는 현상

②상적 발육의 가장 중요한 전환점은 개화 전 영양생장을 거쳐 화성을 이루고 계속 체내 질적 변화를 계속하는 생식생장으로의 전환으로, 화성이라 표현하기도 함

③화성의 유도에는 특수 환경, 특히 일정한 온도와 일장이 관여한다.

(2)상적발육설

1) 리센코 (Lysenko)에 의해 제창

2) 작물의 생장과 발육은 같은 현상이 아니며 생장은 여러 기관의 양적 증가를 의미하지만, 발육은 체내의 순차적인 질적 재조정 작용을 의미

3) 1년생 종자식물은 발육상은 개개의 단계에 의해 성립

4) 개개의 발육단계는 서로 접속해 성립되어 있으며, 이전의 발육상을 경과하지 못하면 다음의 발육상으로 이행할 수 없다.

5) 하나의 식물체에서 개개의 발육상 경과는 서로 다른 특정 환경조건이 필요하다.

(3) 화성의 유인

1) 화성유도의 주요 요인

①내적 요인

㉠C/N 율로 대표되는 동화생산물의 양적 관계

㉡옥신과 지베렐린 등 식물호르몬의 체내 수준 관계

②외적 요인

㉠일장

㉡온도

2)C/N율설

①C/N 율 : 식물 체내의 탄수화물과 질소의 비율을 (탄질률) 의미

②C/N율설:식물의 생육, 화성, 결실을 지배하는 기본요인

③크리우스와 크레이빌의 연구 결과 (토마토)

㉠수분과 질소를 포함한 광물질 양분이 풍부해도 탄수화물 생성이 불충분하면 생장이 미약하고 화성 및 결실도 불량하다.

㉡탄수화물 생성이 풍부하고 수분과 광물질 양분, 특히 질소가 풍부하면 생육은 왕성하나 화성 및 결실이 불량하다.

㉢수분과 질소의 공급이 약간 적어 탄수화물의 생성 조장되어 탄수화물이 풍부해지면 화성 및 결실이 양호하게 되지만, 생육은 감퇴한다.

탄수화물의 증대를 저해하지 않고 수분과 질소의 공급이 더욱 감소되면 생육이 더욱 감퇴하고 화아는 형성되나 결실하지 못하고 더욱 심해지면 화아도 형성되지 않는다.

작물의 개화, 결실에 C/N율설이 적용되는 경우가 많다.

2. 춘화처리

(1) 춘화처리의 뜻

1) 온도유도

생육 중 일정한 시기에 일정 온도에 처하게 하여 개화 및 출수를 유도하는 것

2) 춘화처리

개화 유도를 위해 생육 중 일정한 시기에 일정한 온도로 처리하는 것

②춘화 처리가 필요한 식물에서는 저온처리하지 않으면 개화의 지연 또는 영양기에 머물게 된다.

③저온 처리 자극의 감응 부위는 생장점이다.

(2) 춘화처리의 구분

1) 처리 온도에 따른 구분

①저온 춘화: 월년생 작물은 비교적 저온인 1~10°C의 처리가 유효

② 고 온 춘화: 단일 식물은 비교적 고온인 10~30°C의 처리가 유효

③일반적으로 저온춘화가 고온 춘화에 비해 효과가 결정적으로 춘화처리한 하면 보통은 저온춘화를 의미

2) 처리 시기에 따른 구분

종자 춘화형 식물

최아종자에 처리하는 것

추파 맥류, 완두, 잠두, 봄무, 배추등

녹식물 춘화형 식물

㉠식물이 일정한 크기에 달한 녹체기에 처리하는 작물

양배추, 꽃양배추, 양파, 당근, 히요스, 국화, 당근, 우엉

③비춘화처리형: 춘화처리의 효과가 인정되지 않는 작물

3) 그 밖의 구분

단일 춘화: 명기에 적외선이 많은 광을 조명하면 춘화처리를 한 것과 같은 효과가 발생

화학적 춘화: 지베렐린 같은 화학물질 처리

(3) 춘화처리에 관여하는 조건

1) 최아

①춘화 처리에 필요한 수분의 흡수율은 작물에 따라 각각 다르다.

수온은 12°C 알맞다.

③종자 춘화 시 종자근의 시원체인 백체가 나타나기 시작할 무렵까지 최아 하여 처리한다.

④최아 종자의 춘화처리는 처리 기간이 길어지면 부패 또는 유근의 도장 우려가 있다.

2) 처리 온도와 기간

①처리 온도 및 기간은 유전성에 따라 서로 다르다.

②일반적으로 겨울작물은 저온, 여름작물은 고온이 효과적이다.

3) 산소

춘화처리 중 산소의 공급은 절대적으로 필요하며 산소의 부족은 호흡을 불량하게 하며 춘화처리 효과가 지연(저온), 발생하지 못한다(고온).

4) 광선

①저온 춘화는 광선의 유무에 관계가 없다.

고온춘화는 처리 중 암흑 상태가 필요하다.

③일반적으로 온도 유지와 건조 방지를 위해 암중 보관한다.

5) 건조

춘화처리 중과 처리 후라도 고온, 건조는 저온처리 효과를 경감시키거나 소멸시키므로 고온, 건조를 피해야 한다.

(4) 이춘화와 재춘화

1) 이춘화

저온춘화처리 과정 중 불량한 조건은 저온처리 효과 감퇴나 심하면 저온처리의 효과가 전혀 나타나지 않는데, 이와 같이 춘화처리의 효과가 어떤 원인에 의해서 상실되는 현상

2) 재춘화

가을 호밀에서 이춘화 후 다시 저온처리하면 다시 춘화처리가 되는 것

(5) 춘화처리의 농업적 이용

1) 수량 증대

추파 맥류의 춘화처리 후 춘파로 춘파형 재배 지대에서도 추파형 맥류의 재배가 가능하다.

2) 채종

월동 작물을 저온처리 후 봄에 심어도 출수, 개화하므로 채종에 이용될 수 있다.

3) 촉성재배

딸기의 화아분화에는 저온이 필요하기 때문에 겨울 출하를 위한 촉성재배 시 딸기묘를 여름철에 저온으로 화아분화를 유도해야 한다.

4) 유종상의 이용

춘화처리로 세대단축에 이용한다.

5) 종 또는 품종의 감정

라이그래스류의 종 또는 품종은 3~4주일 동안 춘화처리를 한 다음 종자의 발아율에 의해서 구별된다고 한다.

728x9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