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해평가사 농학개론 중 재배학및 원예작물학 #20
손해평가사 농학개론 중 재배학 및 원예작물학
제20강
제4 장 재배기술
제1 절 종자와 육모
1. 종묘
(1) 종묘의 뜻
작물 재배에 있어 번식의 기본단위로 사용되는 것을 의미하며 종자, 영양체, 모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작물 번식의 시발점이 되는 것을 종물이라 한다.
종물 중 종자는 유성생식의 결과 수정에 의해 배주가 발육한 것을 식물학상 종자라 하며, 종자를 그대로 파종하기도 하지만 묘를 길러서 재식 하기도 하는데 묘도 작물 번식에서 기본단위로 볼 수 있어 종물과 묘를 총칭하여 종묘라 한다.
(2) 종자의 분류
수정으로 배주(밑씨)가 발육한 것을 식물학상 종자라 하며 아포믹시스(무수정 생식, 무수정 종자형성)에 의해 형성된 종자도 식물학상 종자로 취급하며 체세포배를 이용한 인공종자도 종자로 분류한다.
1) 형태에 의한 분류
①식물학상 종자: 두류, 유채, 담배, 아마, 목화, 참깨, 배추, 무, 토마토, 오이, 수박, 고추, 양파 등
②식물학상 과실
㉠과실이 나출된 석: 밀, 쌀보리, 옥수수, 메밀, 호프, 삼, 차조기, 박하, 제충국, 상추, 우엉, 쑥갓, 미나리, 근대, 시금치, 비트 등
㉡과실이 영에 쌓여 있는 것: 벼, 겉보리, 귀리 등
㉢과실이 내과피에 쌓여 있는 것: 복숭아, 자두, 앵두 등
③포자: 버섯, 고사리 등
④영양 기관: 감자, 고구마 등
2)배유의 유무에 의한 분류
①배유종자: 벼, 보리, 옥수수, 등 화본과 종자와 이미자, 양파 등
②무배유종자: 콩, 완두, 팥 등 두과 종자와 상추, 오이 등
3)저장물질에 의한 분류
①전분종자:벼, 맥류, 잡곡류 등 화곡류
②지방종자 : 참깨, 들깨 등 유료 종자
(3) 종묘로 이용되는 영양기관의 분류
1) 눈: 포도나무, 마, 꽃의 아삽 등
2) 잎: 산세베리아, 베고니아 등
3) 줄기
①지상경 또는 지조: 사탕수수, 포도나무, 사과나무, 귤나무, 모시풀 등
②근경(땅속줄기): 생강, 연, 박하, 호프 등
③괴경(덩이줄기):감자, 토란, 돼지감자 등
④구경(알줄기): 글라디올러스 등
⑤인경(비늘줄기): 나리, 마늘 등
⑥흡지:박하, 모시풀 등
4) 뿌리
①지근: 부추, 고사리, 닥나무 등
②괴근(덩이뿌리): 고구마, 마, 달리아 등
(4) 묘의 분류
식물학적으로 초본 묘, 목본묘로 구분되고 육성법에 따라서는 실생묘, 삽목묘, 접목묘, 취목묘 등으로 구분된다.
2. 종자의 생성과 구조
(1) 종자의 생성
종자의 생성은 화분과 배낭 속에 들어있는 자웅 양핵이 접합되는 수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1) 화분
약벽의 화분모세포 분열에 의하여 생기며 2회 분열하여 4개의 화분이 생기며 화분 내에는 1개의 생식세포와 1개의 화분 관세포가 들어 있다.
2) 배낭
배주의 배낭모세포의 분열로 생성되며 2회 분열하여 4개의 세포가 형성되나 3개는 퇴화되고 1개가 배낭을 형성하며 배낭 내 핵은 둘로 나누어져서 1개는 주공 쪽으로 1개는 반대쪽으로 이동하여 각 2회의 분열로 4개의 핵이 되어 양쪽 1개의 핵이 중심으로 이동하여 극핵을 만든다. 주공 가까이의 3개의 핵 중 1개를 난세포, 2개를 조세포라 하며 반대쪽 3개의 세포를 반족 세포라 한다.
3)중복수정
①주두에 화분이 붙으면 발아하여 화분관을 내어 화주 내를 통과하여 자방의 배주에 이르면 주공을 통해 안으로 들어가 선단이 파열하여 내용물을 배낭 내에 방출한다.
②화분 내 성핵은 분열하여 2개의 웅핵이 되고 제1웅핵(n)과 난 핵(n)이 접하여 배(2n)가 되고 제 2웅해(n)은 극핵(2n)과 결합하여 배유(3n)가 되는데 이렇게 2곳에서 수정하는 것을 중복수정이라 한다.
③수정 후 배와 배유는 분열로 발육하게 되고 점차 수분이 감소하고 주피는 종피가 되며 모체에서 독립하는 데 이를 종자라 한다.
(2) 종자의 구조
1) 단자엽식물(외떡잎식물)
①외층은 과피로 둘러싸여 있고 그 안에 배와 배유 두 부분으로 형성되며 배와 배유 사이에는 흡수층이 있으며 배유에 영양분을 다량 저장하고 있으며 이를 배유종자 한다.
②배에는 잎, 생장점, 줄기, 뿌리의 어린 조직이 모두 갖추어져 있다.
③배유에는 양분이 저장되어 있어 종자 발아 등에 이용된다.
2) 쌍자엽식물(쌍떡잎식물)
①배유조직이 퇴화되어 양분이 떡잎에 저장되며 이렇게 배유가 거의 없거나 퇴화되어 위축된 종자를 무배유종자라 한다.
②배와 떡잎, 종피로 구성되어 있다.
③콩 종자의 배는 유아, 배축, 유근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잎, 생장점, 줄기, 뿌리의 어린 조직이 갖추어져 있다.
3. 종자의 품질
(1) 외적 조건
1) 순도
①전체 종자에 대한 정립 종자(순수 종자)의 중량비를 순도라 하며 순도가 높을수록 종자의 품질은 향상된다.
②불순물에는 이형 종자, 잡초 종자, 협잡물(돌, 흙, 모래, 잎, 줄기 등) 등이 있다.
2) 종자의 크기와 중량
①종자는 크고 무거운 것이 충실하고 발아, 생육에 좋다.
②종자의 크기는 1,000 립 중 또는 100 립 중으로 표시하며 종자의 무게(충실도)는 비중 또는 1L 중으로 나타낸다.
3) 색택과 냄새
①품종 고유의 신선한 냄새와 색택을 가진 종자가 건전하고 충실해 발아, 생육이 좋다
②수확기 일기불순, 수확 시기, 저장 중 불량환경, 병해 등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4) 수분함량
종자의 수분 함량은 낮을 수로 저장력이 우수하며 발아력의 유지 기간이 길어지고 변질 및 부패의 우려가 적어진다.
5) 건전도
오염, 번색, 변질이 없고 기계적 손상이 없는 종자가 우량하다.
(2) 내적 조건
1) 유전성
우량품종에 속하고 이형 종자 혼입이 없어야 하며 유전적으로 순수해야 한다.
2) 발아력
①발아율이 높고 발아가 빠르며 균일하고 초기 신장성이 좋은 것이 우량종자이다.
②순활 종자(진가, 용가)는 종자 순도와 발아율에 의해 결정된다.
순활 종자 (%)= 발아율(%) × 순도(%) / 100
3) 병충해
종자전염 병충원이 없어야 하며 종자 소독으로도 방제할 수 없는 바이러스병의 종자는 품질을 크게 떨어뜨린다.
(3) 종자검사
1) 종자검사 항목
①순도 분석: 순수 종자 외의 이종종자와 이물의 내용을 확인할 때 실시하는 검사 항목이다.
②이종종자입수 검사: 특정 종의 종자 또는 특정 이종종자의 숫자를 파악하는 검사로 해초, 기피 종자의 유무를 판단한다.
③발아 검사: 종자의 발아력을 검사하며 종자의 수확에서 판매까지 품질 비교 및 결정의 가장 중요한 검사 항목이다.
④수분 검사: 종자가 갖는 수분함량은 종자의 저장 중 품질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요인이다.
⑤천립중검사: 정립 종자에 대하여 계립기 등을 이용해 천립중을 측정한다.
⑥종자건전도검사: 식물방역, 종자보증, 작물 평가, 농약처리에 있어 주요 수단이 된다.
⑦품종 검증: 주로 종자나 유묘, 식물체 외관상 형태적 차이로 구별하나 구별이 어려운 경우 종자를 재배하여 수확할 때까지 특성을 조사하는 전생육검사를 통하여 평가하고 보조 방법으로 생화학적 및 분자생물학적 검정방법을 이용한다.
2) 형태적 특성에 의한 검사
①종자의 특성조사
②유묘 특성조사
③ 전 생육 검사
④생화학적 검정
㉠자외선 형광 검정
㉡페놀 검사
㉢염색체수 조사
3) 영상분석 법
종성 특성을 카메라와 컴퓨터를 이용해 영상화한 후 자료를 전산화하고 프로그램을 이용 분석하는 기술
4) 분자생물학적 검정
전기영동 법, 핵산증포지문법 등 방법으로 단백질 조성의 분석 또는 단백질을 만드는 DNA를 추적하여 품종을 구별
(4) 종자보증
1) 국가 또는 종자관리사가 정해진 기준에 따라 종자 품질을 보증하는 것으로 국가보증과 자체 보증이 있다.
2) 방법
①작물 고유 특성이 가장 잘 나타나는 생육기에 1회 이상의 포장검사를 받는다.
②합격한 포장에 대하여 종자의 규격, 순도, 발아, 수분 등의 종자검사를 한다.
③작물별 포장검사, 종자검사의 기준, 방법은 종자관리 요강에서 정하고 있다.
3) 종자검사를 필한 보증종자는 분류번호, 종명, 품종명, 소집단 번호, 발아율, 이 품종류, 유효기간, 수량, 포장일자 등 보증표시를 하여 판매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