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해평가사 농학개론 중 재배학및 원예작물학 #22
손해평가사 농학개론 중 재배학 및 원예작물학
제22강
7. 종자처리
(1) 선종
크고 충실하여 발아와 생육이 좋은 종자를 가려내는 것
1) 육안에 의한 선별
콩 종자 등을 상위에 펴놓고 육안으로 굵고 건실한 종자를 고르는 것
2) 용적에 의한 선별
맥류 종자 등을 체로 쳐서 작은 알을 가려 제거하는 방법
3) 중량에 의한 선별
키, 풍구, 선풍기 등을 이용하여 가벼운 알을 제거하는 방법
4) 비중에 의한 선별
①화곡류 등의 종자는 비줄이 큰 것이 대체로 굵고 충실한 점을 이용하여 알맞은 비중의 용액에 종자를 담그고 가라앉는 충실한 종자만 가려내는 방법
②소금물을 비중액으로 이용하는 염수선이 주로 이용되고, 황산암모니아, 염화칼리, 간수, 재 등이 일부 이용되기도 한다.
5)색택에 의한 선별
선별기를 이용하여 시든 종자, 퇴화종자, 변색 종자를 가려낸다.
6) 기타 방법에 의한 선별
외부 조직이나 액체 친화성, 전기적 성질 등에 의한 물리적 특성에 차이를 두고 선별하는 방법
(2) 종자소독
종자전염성 병균 또는 선충을 없애기 위해 종자에 물리적, 화학적 처리를 하는 것
종자 외부 부착균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 화학적소독, 내부 부착균은 물리적 소독을 한다. 바이러스는 현재 종자소독으로 방제할 수 없다.
1) 화학적소독
①침지소독: 농약 수용액에 종자를 일정 시간 담가서 소독하는 방법
②분의 소독: 분제 농약을 종자에 그대로 묻게 하여 소독하는 방법
2) 물리적 소독
①냉수 온탕침법
㉠맥류 겉깜부기병 소독법으로 널리 알려진 방법
㉡맥류 겉깜부기병: 종자를 6~8시간 냉수에 담갔다가 45~50°C의 온탕에 2분 정도 담근 후 곧 다시 겉보리는 53°C , 밀은 54°C의 온탕에 5분간 담갔다 냉수에 식힌 후 그대로 또는 말려서 파종한다.
㉢쌀보리는 냉수에 담근 후 50°C 온탕에 5분간 담그고 냉수에 식힌다.
㉣벼의 선충심고병은 벼 종자를 냉수에 24시간 침지 후 45°C 온탕에 2분 정도 담그고 다시 52°C의 온탕에 10분간 담갔다가 냉수에 식힌다.
②온탕 침범
㉠맥류 겉깜부기병에 대한 소독방법으로 보리는 물의 온도를 43°C , 밀은 45°C의 8~10 시간 정도 담근다.
㉡고구마 검은 무늬 병은 45°C 물에 30~40분 정도 담가 소독한다.
㉢벼모는 하부 1/3의 하단부를 15분간 담가 소독한다.
③건열 처리
㉠곡류는 온탕침법을 많이 사용하나 채소 종자는 건열 처리가 더 일반화된 방법
㉡종자 박고에 부착된 병균 및 바이러스를 제거하기 위한 처리로 60~80°C에서 1~7일간 처리한다.
㉢박과, 가지과, 십자화과 등 주로 종피가 두꺼운 종자에 많이 사용되며 종자의 함수량이 높은 경우 피해가 있으므로 건조로 함수량을 낮게 하며 점차 온도를 높여 처리해야 한다.
3) 기피제 처리
종자 출아 과정에서 조류, 서류 등에 의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종자에 화학약제를 처리하여 파종하는 방식
(3) 침종
파종 전 종자를 일정 기간 동안 물에 담가 발아에 필요한 수분을 흡수시키는 것을 침종이라 한다.
①벼, 가지, 시금치, 수목의 종자 등에 실시한다.
②종자를 침종하면 발아가 빠르고 균일하며 바라기간 중 피해를 줄일 수 있다.
③수질 및 수온에 따라 침종 시간은 달라지며 연수보다는 경수가, 수온이 낮을 수로 시간이 더 길어지는 경향이 있다.
④침종시 수온은 낮지 않은 것이 좋고 산소가 많은 물이 좋으므로 자주 갈아주는 것이 좋다. 수온이 낮은 물에 오래 침종하면 저장양분이 유실되고 산소 부족에 의해 강낭콩, 완두, 콩, 목화, 수수 등에서 발아 장해가 유발된다.
제 2 절 종자의 발아와 휴면
1. 종자의 발아
(1) 의의
1) 발아
종자에서 유아와 유근이 출현하는 것
2) 출아
종자 파종 시 발아한 새싹이 지상으로 출현하는 것
3) 맹아
목본식물의 지상부 눈이 벌어져 새싹이 움트거나 씨감자 등에서 지하부 새싹이 지상으로 자라는 현상이나 새싹 자체를 맹아라 한다.
4) 최아
발아와 생육을 촉진할 목적으로 종자의 싹을 약간 틔워서 파종하는 것
(2) 발아 조건
1) 수분
① 모든 종자는 일정량의 수분을 흡수해야만 발아한다.
②발에 필요한 수분의 함량은 종자 무게의 벼 23% , 밀 30% , 쌀 보리 50%, 콩 100% 정도이며 토양이 건조하면 건조하면 습한 경우에 비해 발아할 때 종자의 함수량이 적다.
2) 온도
①온도와 발아의 관계는 발아 최저 온도, 최고온도가 있으며 이는 작물 종류와 품종에 따라 다르다.
②최저 온도 0~10°C , 최적온도 20~30°C , 최고온도 35~50°C 범위에 있고 고온 작물에 비해 저온 작물은 발아온도가 낮다.
③최적 온도 일 때 발아율이 높고 발아속도가 빠르며 지나친 고온은 발아하지 못하고 휴면상태가 되며 나중에 열사 하게 된다.
④담배, 박하, 셀러리, 오처드그라스 등의 종자는 변온 상태에서 발아가 촉진된다.
3) 산소
①종자가 발아 중에는 많은 산소를 요구하며 산소가 충분히 공급되면 발아가 순조롭지만 볍씨와 같이 산소가 없는 경우에도 무기호흡으로 발아에 필요한 에너지를 얻는 경우도 있다.
②발아에 있어 종자의 산소 요구도는 작물의 종류와 발아 시 온도 조건 등에 따라 달라지며 수중 발아 상태를 보고 산소요구도를 파악할 수 있다.
③수중에서의 종자 발아 난이도
㉠수중 발아를 못하는 종자: 밀, 귀리, 메밀, 콩, 무, 양배추, 고추, 가지, 파, 앨팰퍼, 옥수수, 수수, 호박, 율무 등
㉡수중 발아 시 발아 감퇴 종자: 담배, 토마토, 카네이션, 화이트클로버, 브롬 그라스 등
㉢수중 발아가 잘 되는 종자: 벼, 상추, 당근, 셀러리, 피튜니아, 티머시, 캐나다 블루그래스 등
4) 광
①대부분 종자에 있어 광은 발아에 무관하지만 광에 의해 발아가 조장되거나 억제되는 것도 있다.
②호광성종자(광발아종자)
㉠광에 의해 발아가 조장되며 암 조건에서 발아하지 않거나 발아가 몹시 불량한 종자
㉡담배, 상추, 우엉, 차조기, 금어초, 베고니아, 피튜니아, 뽕나무, 버뮤다그래스 등
③혐광성종자(암발아종자)
㉠광이 발아에 관계가 없는 종자
㉡호박, 토마토, 가지, 오이, 파 나리과 식물 등
④광무관종자
㉠광이 발아에 관계가 없는 종자
㉡벼, 보리, 옥수수, 등 화곡류와 대부분 콩과 작물 등
⑤화본과 목초 종자나 잡초 종자는 대부분 호광성종자이며 땅속에 묻히게 되면 산소와 광 부족으로 휴면하다가 지표 가까이 올라오면 산소와 광에 의해 발아하게 된다.
⑥적색광, 근적색광 전환계가 호광성종자의 발아에 영향을 미치며 광발아성은 후숙과 발아 시 온도에 따라서도 달라진다.
⑦광감수성은 화학물질에 의해서도 달라지는데 지베렐린 처리는 호광성종자의 암중 발아를 유도하며 약산 처리는 호광성이 혐광성으로 바뀌는 경우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