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해평가사농학개론재배학및원예작물학

손해평가사 농학개론 중 재배학및 원예작물학 #26

sinye336 2025. 4. 21. 11:00
728x90
SMALL
손해평가사 농학개론 중 재배학 및 원예작물학
제26강

 

7) 조직배양

①의의

조직배양 : 식물의 일부인 세포, 조직, 기관 등을 무균에서 배양하여 완전한 식물체로 재분화시키는 것

㉡전체 형성은 : 한번 분화한 식물세포가 정상적인 식물체로 재분 화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조직배양은 삽목이나 접목에 비하여 짧은 시간에 대량 증식이 가능하며 생장점, 중식으로 무병종묘의 육성이 가능하다.

㉣배지: 배양 조직의 영양 요구도에 따라 조성은 달라지며 보통 MS 배지를 기본배지로 배양 재료에 맞게 배지를 만든다.

②배배양의 이용

나리, 목화, 벼 등 정상적으로 발아, 생육하지 못하는 잡종 종자는 배배양을 통해 잡종 식물을 육성할 수 있다.

㉡나리, 장미, 복숭아 등은 결과연령을 단축하여 육종 연한을 단축시킬 수 있다.

㉢양 앵두 등은 자식 배가 퇴화하기 전에 분리 배양하여 새로운 개체를 육성할 수 있다.

③약배양의 이용

㉠화분의 소포자로부터 배가 생성되는 4분 자기 이후 2핵기 사이에 꽃밥을 배지에서 인공적 배양으로 반수체를 얻고 염색체를 배가시키면 유전적으로 순수한 2배체식물(동형접합테)이 얻을 수 있수 있어 육종 연한을 단축할 수 있다.

벼, 감자, 담배, 십자화과 등의 자가불화합성인 식물에서 새로운 개체를 분리, 육종할 수 있다.

④병적 조직배양의 이용

병해충과 숙주의 관계, 바이러스, 선충에 관한 기초정보 및 연구에 활용

2. 육모

(1) 육모의 필요성

①직파가 매우 불리한 경우

딸기, 고구마, 과수 등은 직파하면 매우 불리하므로 육묘 이식이 경제적인 재배법이다.

②중수

벼, 콩, 맥류, 과채류 등은 직파 보다 육모 이식이 생육을 조장하여 증수한다.

③조기 수확

과채류 등은 조기에 육모 해서 이식하면 수확기가 빨라져 유리하다.

④토지 이용도 증대

벼의 육모 이식은 벼와 맥류 또는 벼와 감자 등의 1년 2작이 가능하며 채소도 육묘 이식은 토지이용도를 높일 수 있다.

⑤재해의 방지

직파재배에 비해 육모 이식은 집약 관리가 가능하므로 병충해, 한 해, 냉해 등을 방지하기 쉽고 벼에서는 도복의 경감, 감자의 가을 재배에서는 고온에 의한 장해가 경감된다.

⑥용수의 절약

벼 재배에서는 못자리 기간 동안 본답의 용수가 절약된다.

⑦노력의 절감

직파로 처음부터 넓은 본포에서 관리하는 것에 비해 중경제초 등에 소요되는 노력이 절감된다.

⑧추대 방지

봄 결구배추를 보온 육묘 후 이식하면 직파 시 포장에서 냉온의 시기에 저온감응으로 추대하고 결구하지 못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⑨종자의 절약

직파하는 경우보다 종자량이 훨씬 적게 들어 종자가 비싼 경우 특히 유리하다.

(2)묘상의 종류

1) 의의

묘를 육성하는 장소를 묘상이라 하며 벼의 경우를 특히 못자리라 하고 수목은 묘표라 한다.

2) 지면 고저에 따른 분류

①저 설상(지상):지면을 파서 설치하는 묘상으로 보온의 효과가 크므로 저온기 육모에 이용되며 배수가 좋은 곳에 설치된다.

평상: 지면과 같은 높이로 만드는 묘상

고설상(양상): 지면보다 높게 만든 묘상으로 온도와 무관한 경우, 배수가 나쁜 곳이나 비가 많이 오는 시기에 설치한다.

3) 보온 양식에 따른 분류

①냉상: 태양열만 유효하게 이용하는 방법

②노지상: 자연 포장상태로 설치하는 묘상

③온상: 열원을 이용하고 태양열도 유효하게 이용하는 방법으로 열원에 따라 양열온상, 전열온상 등으로 구분한다.

4) 못자리의 종류

①물못자리: 초기부터 물을 대고 육묘하는 방식

②밭 못자리: 못자리 기간 관개하지 않고 밭 상태의 토양조건에서 육묘하는 방식

③절충 못자리: 물 못자리와 밭못자리를 절충한 방식

④보온 절충못자리: 초기 폴리에틸렌필름 등 피복하여 보온하고 물은 통로에만 대주다 제2 본엽이 반 정도 자랐을 때 보온자재를 벗기고 못자리 전면에 담수하여 물 못자리로 바꾸는 방식

⑤보온 밭못자리: 육묘기간 중 물을 대지 않는 밭 상태로 육묘하되 폴리에틸렌필름을 터넔기 프레임을 만들어 그 속에서 육묘하는 방식

⑥상자 육묘 : 기계이앙을 위한 상자 육모는 파종 후 8~10일에 모내기를 하는 유묘, 파종 후 20일경에 모내기를 하는 치묘, 파종 후 30일경에 모내기를 하는 중묘가 있다.

(3) 묘사의 설치 장소

①본포에서 멀지 않은 가까운 곳이 좋다.

②집에서 멀지 않아 관리가 편리한 곳이 좋다.

③관개 용수의 수원이 가까워 관개수를 얻기 쉬운 곳이 좋다.

④저온기 육모는 양지바르고 따뜻한 곳이 좋고 방풍이 되어 강한 바람을 막아주는 곳이 좋다.

⑤배수가 잘되고, 오수와 냉수가 침입하지 않는 곳이 좋다.

⑥인축, 동물, 병충 등의 피해가 없는 곳이 좋다.

⑦지력이 너무 비옥하거나 척박하지 않은 곳이 좋다.

(4) 묘사의 구조와 설비

1) 노지상

지력이 양호한 곳을 골라 파종상을 만들고 파종한다. 파종상에 비닐 또는 폴리에틸렌필름으로 덮으면 보온 묘판이 된다.

2) 온상

① 구덩이를 파고 그 둘레에 온상틀을 설치한 다음 발연 또는 가열 장치를 한 후 그 위에 상토를 넣고 온상창과 피복물을 덮어서 보온한다.

②상토: 배수가 잘되고, 보수가 좋으며, 비료성분이 넉넉하고, 병충원이 없어야 좋으며 퇴비와 흙을 섞어 쌓았다가 잘 섞은 후 체로 쳐서 사용한다.

㉠관행 상토(숙성 상토) : 퇴비와 흙을 섞어 쌓아 충분히 숙성된 것

㉡속성상토: 단시일에 대량으로 만든 상토로 유기물과 흙을 5:5 또는 3:7의 비율로 하고 화학비료와 석회를 적당량 배합하여 만든 것

㉢플러그 육모 상토( 공정육묘 상토): 속성상토로 피트모스, 버미큘라이트, 펄라이트 등을 혼합하여 사용한다.

(5) 채소류 공정육묘의 장점

①단위 면적 당 모의 대량생산이 가능하다.

② 전 과정의 기계화로 관리비와 인건비 등 생산비가 절감된다.

③기계 정식이 용이하고 정식 시 인건비를 줄일 수 있다.

④모의 소질 개선이 용이하다.

⑤운반과 취급이 용이하다.

⑥규모화가 가능해 기업화 및 상업화가 가능하다.

⑦육모 기간이 단축되고 주문 생산이 용이해 연중 생산 횟수를 늘릴 수 있다.

 

728x9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