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해평가사 농학개론 중 재배학 및 원예작물학
제29강
6. 혼작(섞어짓기)
(1) 의의 및 방법
①생육 기간이 거의 같은 두 종류 이상의 작물을 동시에 같은 포장에서 섞어 재배하는 것을 혼작이라 한다.
②작물 사이에 주작물과 부작물이 뚜렷하게 구분되는 경우도 있으나 명확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
③혼작 하는 작물들의 여러 생태적 특성으로 따로 재배하는 것보다 혼작이 합계 수량이 많아야 의미가 있다.
④혼작 물의 선택은 키, 비료의 흡수, 건조나 그늘에 견디는 정도 등을 고려하여 작물 상호 간 피해가 없는 것이 좋다.
(2)조혼작
①여름작물을작휴의 줄에 따라 다른 작물을 일렬로 점파 조파하는 방법
②서북부지방의 조+콩, 팥+녹두의 혼작이 이에 해당한다.
(3)점 혼작
① 본 작물 내의 주간 군데군데 다른 작물을 한 포기 또는 두 포기씩 점 파하는 방법
②콩+수수 또는 옥수수, 고구마+콩이 이에 해당
(4) 난혼작
①군데군데 혼작물을 주 단위로 재식 하는 방법으로 그 위치가 정해져 있지 않다.
②콩+수수 / 조, 목화 + 참깨 / 들깨, 조+기장 / 수수, 오이 +아주까리 / 기장+ 콩 / 팥+ 메밀 등
7. 간작(사이짓기)
(1) 의의
①한 종류의 작물이 생육하고 있는 사이에 한정된 기간 동안 다른 작물을 재배하는 것을 간작이라 하며 생육시기가 다른 작물을 일정 기간 같은 포장에 생육시키는 것으로 수확 시기가 서로 다른 것이 보통이다.
②이미 생육하고 있는 것을 주작물 또는 상작이라 하고 나중에 재배하는 작물을 간작물 또는 하작이라 한다.
③주목적은 주작물에 큰 피해 없이 간작물을 재배, 생산하는 데 있다.
④주작물은 키가 작아야 통풍, 통광이 좋고 빨리 성숙한 품종이 빨리 수확하여 간작물을 빨리 독립시킬 수 있어 좋다.
⑤주작물 파종 시 이랑 사이를 넓게 하는 것이 간작물의 생육에 유리하다.
(2) 장점
①단작보다 토지이용률이 높다.
②노력의 분배 조절이 용이하다.
③주작물과 간작물의 적절한 조합으로 비료의 경제적 이용이 가능하고 녹비에 의한 지력 상승을 꾀할 수 있다.
④주작물은 간작물에 대하여 불리한 기상조건과 병충해에 대하여 보호 역할을 한다.
⑤간작물이 조파 조식되어야 하는 경우 이것을 가능하게 하여 수량이 증대된다.
(3) 단점
①간작물로 인하여 작업이 복잡하다.
②기계화가 곤란하다.
③후작의 생육 장해가 발생할 수 있다.
④토양 수분 부족으로 발아가 나빠질 수 있다.
⑤후작물로 인하여 토양 비료 부족이 발생할 수 있다.
8. 기타 방식
(1) 교호작(엇갈아 짓기)
①일정 이랑씩 두 작물 이상의 작물을 교호로 배열하여 재배하는 방식을 교호작이라 한다.
②작물들의 생육시기가 거의 같고 작물별 시비, 관리 작업이 가능하며 주작과 부작의 구별이 뚜렷하지 않다.
③교호작의 규모가 큰 것을 대상재배라 한다.
(2)주 위작(둘레 짓기)
①포장의 주위에 포장 내 작물과는 다른 작물을 재배하는 것을 주위작이라 하며 혼파의 일종이라 할 수 있다.
②주목적은 포장 주위의 공간을 생산에 이용하는 것이다.
제5 절 작물의 내적 균형과 생장조절제
1. 작물의 내적 균형
(1) 내적 균형의 의의
작물의 생리적, 형태적 어떤 균형 또는 비율은 작물 생육의 특정한 방향을 표시하는 좋은 지표가 되므로 재배적으로 중요하다. 그 지표로 C/N 율, T/N 율, G-D 균형 등이 있다.
(2) C/N 율
1) 의의
①작물 체내의 탄수화물과(C)과 질소(N) 비율
②작물의 생육과 화성 및 결실 등이 발육을 지배하는 요인이라는 견해를 C/N율설이라 한다.
2)C/N율설
①피셔는 C/N 율이 높을 경우 화성의 유도, C/N 율이 낮을 경우 영양생장이 계속된다고 하였다.
②수분 및 질소의 공급이 약간 쇠퇴하고 탄수화물 생성의 조장으로 탄수화물이 풍부해지면 화성과 결실은 양호하나 생육은 감퇴한다.
3) C/N 율의 적용
①C/N율설의 적용은 여러 작물에서 생육과 화성, 결실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
②과수 재배에 있어 환상박피, 각절로 개화, 결실을 촉진할 수 있다.
③고구마 순을 나팔꽃의 대목으로 접목하면 화아 형성 및 개화가 가능하다.
(3) T/R 율
1) 작물의 지하부 생장량에 대한 지상부 생장량의 비율을 T/R율이라 하며 T/R율의 변동은 작물의 생육상태 변동을 표시하는 지표가 될 수 있다.
2) T/R 율과 작물의 관계
①감자나 고구마 등은 파종이나 이식이 늦어지면 지하부 중량 감소가 지상부 중량 감소보다 커서 T/R 율이 커진다.
②질소의 다량 시비는 지상부는 질소 집적이 많아지고 단백질 합성이 왕성해지고 탄수화물의 잉여는 적어져 지하부 전류가 감소하게 되므로 상대적으로 지하부 생장이 억제되어 T/R 율이 커진다.
③일사가 적어지면 체내에 탄수화물의 축적이 감소하여 지상부보다 지하부의 생장이 더욱 저하되어 T/R 율이 커진다.
④토양함수량의 감소는 지상부 생장이 지하부 생장에 비해 저해되므로 T/R 율은 감소한다.
⑤토양 통기 불량은 뿌리의 호기 호흡의 저해되어 지하부의 생장이 지상부 생장보다 더욱 감퇴되어 T/R 율이 커진다.
(4) G-D 균형
식물의 생육 또는 성숙을 생장과 분화 두 측면에서 보면 생장과 분화의 균형이 식물의 생육과 성숙을 지배하므로 G-D 균형은 식물의 생육을 지배하는 요인이 된다는 것이다.